급성 또는 만성 눈물주머니염 환자에서 눈물주머니와 눈물점에서 검출된 세균의 일치도 분석
목적: 급성 또는 만성 눈물주머니염 환자에서 코경유 또는 피부경유 눈물주머니코안연결술을 받은 환자의 눈물점과 눈물주머니에서 실시한 세균배양 검사에서 검출된 세균의 일치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2006년 1월부터 2010년 7월까지 코경유 또는 피부경유 눈물주머니코안연결술을 받은 환자 115명을 대상으로 수술 중 눈물 점과 눈물주머니에서 점성 분비물을 얻어 세균배양 검사를 시행하였고, 일치도를 조사하였다. 결과: 눈물점 또는 눈물주머니에서 세균이 검출된 경우는 전체의 93.0%였으며, 눈물점에서 검출된 세균 중 가장...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Daihan angwa haghoi jabji 2011, 52(8), , pp.897-901 |
---|---|
Hauptverfasser: | , , ,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목적: 급성 또는 만성 눈물주머니염 환자에서 코경유 또는 피부경유 눈물주머니코안연결술을 받은 환자의 눈물점과 눈물주머니에서 실시한 세균배양 검사에서 검출된 세균의 일치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2006년 1월부터 2010년 7월까지 코경유 또는 피부경유 눈물주머니코안연결술을 받은 환자 115명을 대상으로 수술 중 눈물 점과 눈물주머니에서 점성 분비물을 얻어 세균배양 검사를 시행하였고, 일치도를 조사하였다. 결과: 눈물점 또는 눈물주머니에서 세균이 검출된 경우는 전체의 93.0%였으며, 눈물점에서 검출된 세균 중 가장 많은 균은 표피포도구균(23.5%)이었고, 눈물주머니 주변에서는 황색포도구균(25.0%)이었다. 눈물점과 눈물주머니에서 모두 세균이 검출되었을 때, 동일한 세균이 검출된 비율은 61.7% (37예)에 이르며, 동일한 세균이 검출되었을 때 가장 빈도가 높은 세균은 황색포도구균이었다. 결론: 코눈물관 폐쇄가 있는 만성 혹은 급성 눈물주머니염 환자의 대부분에서 세균이 배양되었고, 눈물점과 눈물주머니에서의 세균 배양 검사 결과는 대부분 결막의 상재균이었으며, 이들은 높은 일치도(61.7%)를 보였다.
Purpose: To evaluate the correlation between organisms cultured from the lacrimal punctum and lacrimal sac in acute and chronic dacryocystitis during endonasal or external dacryocystorhinostomy. Methods: Clinical and microbiological records of patients who received endonasal or external dacryocystorhinostomy diagnosed with chronic or acute dacryocystitis between January 2006 and July 2010 were reviewed for age, gender, and culture results from samples of the lacrimal punctum and the lacrimal sac. Results: A total of 107 (93%) patients were positive for bacterial cultures from the lacrimal punctum or sac. The majority of microorganisms from the lacrimal punctum were Staphylococcus epidermidis (24%), and the majority of microorganisms from the lacrimal sac were Staphylococcus aureus (25%). When simultaneous positive culture results from the lacrimal punctum and lacrimal sac were observed, the microorganisms from the 2 areas were identical in 62% of the samples. Additionally, the majority of these organisms were S. aureus. Conclusions: A high rate of microorganism-positive cultures from the lacrimal sac or lacrimal punctum with a diagnosis of chronic or acute dacryocystitis was found. In addition, the cultur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cause of dacryocystitis was mostly conjunctival normal flora, with a high degree of similarity in organisms between the lacrimal sac and lacrimal punctum (61.7%). |
---|---|
ISSN: | 0378-6471 2092-937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