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 백색증 환자의 임상양상과 이에 따른 저시력 기구의 임상효과
목적: 소아 백색증 환자의 임상양상과 이를 토대로 처방된 저시력 기구의 임상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1년 이상 저시력 클리닉을 내원한 백색증 환자 15명 30안에 대하여 굴절검사, 안저 검사, 안진평가, 주관적 증상을 조사하였으며, 이러한 임상양상을 토대로 하여 처방된 저시력 기구의 종류와 사용 전후의 시력, 대비감도, 1분간 읽을 수 있는 글자 수, 주관적 증상의 호전 정도 등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대상 환자는 모두 2디옵터 이상의 난시를 가지고 있었으며, 저시력 기구는 손잡이식 확대경과 망원 현...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Daihan angwa haghoi jabji 2011, 52(4), , pp.466-471 |
---|---|
Hauptverfasser: | , , ,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목적: 소아 백색증 환자의 임상양상과 이를 토대로 처방된 저시력 기구의 임상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1년 이상 저시력 클리닉을 내원한 백색증 환자 15명 30안에 대하여 굴절검사, 안저 검사, 안진평가, 주관적 증상을 조사하였으며, 이러한 임상양상을 토대로 하여 처방된 저시력 기구의 종류와 사용 전후의 시력, 대비감도, 1분간 읽을 수 있는 글자 수, 주관적 증상의 호전 정도 등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대상 환자는 모두 2디옵터 이상의 난시를 가지고 있었으며, 저시력 기구는 손잡이식 확대경과 망원 현미경이 가장 많이 처방되었으며, 환자들은 안경처방과 저시력 기구 처방 후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시력호전을 보였으며( p<0.001), 대비감도, 1분간 읽을 수 있는 글자수 역시 의미있는 호전을 보였다. 결론: 백색증 환자에 대한 관리는 가장 먼저 굴절이상에 대한 교정으로 시력 및 사시각 등의 호전을 기대할 수 있으며, 착색렌즈 등 저시력 기구를 통하여 눈부심 등의 주관적 증상을 호전시킬 수 있다. 또한 저시력기구의 사용은 훈련을 통하여 적응도를 높여야만 최종적인 환자의 만족도를 증가시킬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To assess clinical features and efficacy of spectacles and low vision devices in pediatric patients with albinism. Methods: A retrospective study was performed of 15 pediatric patients with albinism for whom glasses and low vision devices had been prescribed to determine subjective satisfaction and objective improvement in visual acuity (VA), strabismus, contrast sensitivity, number of reading letters during 1 minute with refractive correction and low vision devices. Results: The median refractive correction was +0.12 ± 5.45 diopter (D) spherical equivalent with -0.71 ± 3.62 D astigmatism. Most patients complained of reading difficulty and photophobia. Hand-held magnifier and Keplerian telescope were commonly prescribed low vision devices. In addition, VA, strabismic deviation, contrast sensitivity and number of reading letters during 1 minute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wearing glasses and low vision devices. Conclusions: The present study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corrected VA, alignment and subjective symptoms in pediatric patients with albinism by wearing glasses and low vision devices. Additionally, high compliance can improve final patients` satisfaction through using training of low vision devices. J Korean Ophthalmol Soc 2011;52(4):466-471 |
---|---|
ISSN: | 0378-6471 2092-937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