튜브 결찰 및 스텐트 방식에 따른 방수유출장치 내 유동저항의 평가
목적: 방수유출장치에서 다양한 튜브 결찰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튜브 내 유동저항의 변화를 정량적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타입 1: 아메드 튜브를 결찰하지 않은 군, 타입 2: 튜브를 8-0 바이크릴로 결찰한 군, 타입 3: 몰테노 튜브와 1 가닥 6-0 프롤린 내부 스텐트를 8-0 바이크릴로 결찰한군, 타입 4: 아메드 튜브와 3 가닥 8-0 나일론 외부 스텐트를 8-0 바이크릴로 결찰한 군, 타입 5: 튜브와 6-0 프롤린 외부 스텐트를 8-0 바이크릴로 결찰하고 스텐트를 제거한 군. 결과: 타입 1에서 튜브 내 압력...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Daihan angwa haghoi jabji 2011, 52(5), , pp.610-617 |
---|---|
Hauptverfasser: | , , , , ,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목적: 방수유출장치에서 다양한 튜브 결찰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튜브 내 유동저항의 변화를 정량적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타입 1: 아메드 튜브를 결찰하지 않은 군, 타입 2: 튜브를 8-0 바이크릴로 결찰한 군, 타입 3: 몰테노 튜브와 1 가닥 6-0 프롤린 내부 스텐트를 8-0 바이크릴로 결찰한군, 타입 4: 아메드 튜브와 3 가닥 8-0 나일론 외부 스텐트를 8-0 바이크릴로 결찰한 군, 타입 5: 튜브와 6-0 프롤린 외부 스텐트를 8-0 바이크릴로 결찰하고 스텐트를 제거한 군. 결과: 타입 1에서 튜브 내 압력은 평균 0.143 mmHg로, 타입 2에서 압력은 6.688까지 상승한 후 6.384로, 타입 3에서 결찰 후 압력은 5.396에서 스텐트 제거 후 3.572로 유지되었다. 타입 4에서 결찰 후 압력은 5.700, 1 스텐트 제거 후 5.472, 2 스텐트 제거 후 5.016, 3 스텐트 제거 후 4.180로, 타입 5에서 스텐트 제거 후 6.384까지 상승한 후 5.624 mmHg로 유지되었다. 결론: 튜브 결찰 및 외부 스텐트 제거술은 술 후 초기 저안압을 예방하면서 안압을 단계적으로 하강시킬 수 있는 유용한 방법이라 생각한다.
Purpose: To evaluate the flow resistance though the tube in a glaucoma drainage implant using various tube ligation methods. Methods: To measure the flow resistance, the following tube ligation methods were designed and tested: Type 1: no ligation of Ahmed valve tube. Type 2: ligation of Ahmed valve tube with 8-0 Vicryl. Type 3: ligation of Molteno tube and a 6-0 Vicryl as an intra-luminal stent with 8-0 Vicryl. Type 4: ligation of Ahmed valve tube and three strands of 8-0 nylon as extra-luminal stents with 8-0 Vicryl. Type 5: ligation of Ahmed valve tube and a 6-0 Prolene as an extra-luminal stent with 8-0 Vicryl followed by removal of the Prolene for partial ligation. Results: The pressure was maintained under 0.143 mm Hg in type 1. In type 2, the pressure increased to 6.688 mm Hg and dropped to approximately 6.384 mm Hg. In type 3, the pressure was maintained at 5.396 mm Hg which decreased to 3.572 mm Hg after stent removal. In type 4, the pressure was maintained at 5.700 mm Hg which dropped to 5.472 mm Hg after the 1st stent removal, to 5.016mm Hg after the 2nd stent removal and to 4.180 mm Hg after the 3rd stent removal. In type 5, the pressure increased to 6.384 mm Hg and decreased to 5.624 mm Hg. Conclusions: The tube ligation along with extra-luminal stents followed by staged removal may provide prevention of hypotony and staged control of intraocular pressure after a glaucoma implant operation. J Korean Ophthalmol Soc 2011;52(5):610-617 |
---|---|
ISSN: | 0378-6471 2092-937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