쯔쯔가무시 감염에서 발생한 양안성 시신경염 1예

목적: 쯔쯔가무시 감염 후에 발생한 양안성 시신경염 환아 1예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8세 남자 환자가 쯔쯔가무시 감염으로 치료 중 양안의 급격한 시력저하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전신검사상 특징적인 피부가피(eschar) 소견을 보였으며, 안과검사상 우안의 최대교정시력은 0.08 좌안은 광각무였으며, 양안의 색각이상, 동공반사이상, 시신 경유두 부종 소견을 보여 양안의 시신경염 진단하에 고용량의 스테로이드 치료를 시행하였다. 시력 저하 발생 12개월 경과 후 좌안의 구심성동공운동장애 소견은 지속되었고 최대교정시력은 우안 1.0...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Daihan angwa haghoi jabji 2012, 53(6), , pp.901-905
Hauptverfasser: 이정재, Jung Jae Lee, 박재영, Jae Yeong Park, 서원문, Won Moon Seo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목적: 쯔쯔가무시 감염 후에 발생한 양안성 시신경염 환아 1예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8세 남자 환자가 쯔쯔가무시 감염으로 치료 중 양안의 급격한 시력저하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전신검사상 특징적인 피부가피(eschar) 소견을 보였으며, 안과검사상 우안의 최대교정시력은 0.08 좌안은 광각무였으며, 양안의 색각이상, 동공반사이상, 시신 경유두 부종 소견을 보여 양안의 시신경염 진단하에 고용량의 스테로이드 치료를 시행하였다. 시력 저하 발생 12개월 경과 후 좌안의 구심성동공운동장애 소견은 지속되었고 최대교정시력은 우안 1.0 좌안 0.06으로 향상되었다. 결론: 쯔쯔가무시 감염 후에 발생한 소아의 양안성 시신경염을 경험하였고, 스테로이드 치료에 부분적인 반응을 보여 보고하는 바이다. Purpose: To report a case of bilateral optic neuritis in a child after tsutsugamushi infection. Case summary: An eight-year-old boy diagnosed with tsutsugamushi infection was referred to the ophthalmology clinic at our institution. A typical eschar was detected on his right clavicle. The patient complained of severely decreased visual acuity. The initial best corrected visual acuity (BCVA) in his right eye was 0.08, and in his left eye was negative light perception. Fundus exam showed bilateral optic disc swelling and hyperemia. Optic neuritis was diagnosed after tsutsugamushi infection, and high-dose intravenous steroid therapy was initiated according to the ONTT study protocol. Twelve months after treatment, the right eye BCVA improved to 1.0, but the left eye BCVA was only 0.06. Conclusions: The authors of the present study experienced a case of bilateral optic neuritis after tsutsugamushi infection with a relatively positive response to the steroid therapy.
ISSN:0378-6471
2092-9374
DOI:10.3341/jkos.2012.53.6.9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