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취법 차이에 따른 백내장 수술 후 눈꺼풀처짐의 발생 비교
목적: 백내장 수술에서 개검기에 대항하여 안륜근이 수축하는 정도가 수술 후 눈꺼풀처짐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Procaine hydrochloride 점안마취와 Nadbath-Rehman-Ellis 마취를 비교 연구하였다. 대상과 방법: 한쪽 눈을 점안마취를 이용하여 백내장 수술을 시행 받고 반대편 눈은 Nadbath-Rehman-Ellis마취를 이용하여 수술을 시행 받은 20명(40안)을 대상으로 하였다. 마취 방법에 따라 대상 안을 두 군으로 나눈 후에 두 군 간에 수술 후 Marginal Reflex Dista...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Daihan angwa haghoi jabji 2012, 53(9), , pp.1226-1230 |
---|---|
Hauptverfasser: | ,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목적: 백내장 수술에서 개검기에 대항하여 안륜근이 수축하는 정도가 수술 후 눈꺼풀처짐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Procaine hydrochloride 점안마취와 Nadbath-Rehman-Ellis 마취를 비교 연구하였다. 대상과 방법: 한쪽 눈을 점안마취를 이용하여 백내장 수술을 시행 받고 반대편 눈은 Nadbath-Rehman-Ellis마취를 이용하여 수술을 시행 받은 20명(40안)을 대상으로 하였다. 마취 방법에 따라 대상 안을 두 군으로 나눈 후에 두 군 간에 수술 후 Marginal Reflex Distance1 (MRD1)과 눈꺼풀올림근의 기능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결과: 수술 전 평균 MRD1은 A군 2.6 ± 0.3 mm, B군 2.5 ± 0.4 mm, 눈꺼풀올림근 기능은 A군 9.0 ± 1.0 mm, B군 9.1 ± 1.1 mm로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수술 후 1주와 4주에 점안마취를 시행 받은 눈의 평균 MRD1은 각각 2.0 ± 0.3 mm, 2.3 ± 0.3 mm로 Nadbath-Rehman-Ellis마취를 시행 받은 눈의 2.3 ± 0.2 mm, 2.4 ± 0.4 mm와 비교하여 유의하게 작았다(p=0.046, 0.042). 눈꺼풀 올림근의 기능은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수술 후 1주에 2 mm 이상의 MRD1의 감소는 점안마취를 시행한 군에서만 4명 (20%)에서 나타나서 Nadbath-Rehman-Ellis마취를 시행 받은 군과 비교해서 유의하게 많았다. 결론: 백내장 수술 시 Nadbath-Rehman-Ellis마취는 눈꺼풀올림근 근막의 손상을 줄여서 수술 후 눈꺼풀 처짐의 발생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Purpose: The authors of the present study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of procaine hydrochloride topical anesthesia and Nadbath-Rehman-Ellis akinesia to observe orbicularis oculi stress against the eyelid speculum and occurrence of postoperative ptosis. Methods: In 40 eyes of 20 patients, 1 eye underwent a cataract operation by topical anesthesia and the other eye underwent Nadbath-Rehman-Ellis akinesiaDepending on the anesthetic method, the 2 groups were evaluated to determine the difference in marginal reflex distance and levator function after the surgery.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2 groups in the mean preoperative MRD1 which was 2.5 ± 0.4 mm and levator function which was 9.0 ± 1.1 mm. After 1 week and 4 weeks, the mean MRD1 on eyes with topical anesthesia was 2.0 ± 0.3 mm and 2.3 ± 0.3 mm, respectively, and the mean MRD1 on eyes with Nadbath-Rehman-Ellis akinesia was 2.3 ± 0.2 mm and 2.4 ± 0.4 mm, respectively, which was significantly lower (p = 0.046, 0.042). The levator function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The reduction of MRD1 over 2 mm was shown only in the group with topical anesthesia which was significantly higher in comparison to the group with Nadbath-Rehman-Ellis akinesia which had none. Conclusions: In cataract surgery, Nadbath-Rehman-Ellis akinesia can reduce damage to the levator aponeurosis decreasing the occurrence of postoperative ptosis. |
---|---|
ISSN: | 0378-6471 2092-937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