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층각막이식술을 받은 반점각막이상증 환자의 장기 임상성적

목적: 반점각막이상증 환자에서 시행한 전층각막이식술의 장기 임상성적에 대해 보고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1986년 11월부터 2011년 12월까지 반점각막이상증 환자 31명 46안을 대상으로 전층각막이식술을 시행하고 수술 전, 후의 최대교정시력, 각막내피세포의 변화율, 수술 후 합병증, 재발여부에 대해 분석하였다. 결과: 평균 경과 관찰 기간은 91.59 ± 3.2개월이었으며, 최대교정시력은 술 전 0.99 ± 0.24 logMAR에서 술 후 12개월째 0.38 ± 0.12 logMAR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각막내...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Daihan angwa haghoi jabji 2012, 53(10), , pp.1425-1431
Hauptverfasser: 이지명, Ji Myung Lee, 황규연, Kyu Yeon Hwang, 황호식, Ho Sik Hwang, 김만수, Man Soo Kim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목적: 반점각막이상증 환자에서 시행한 전층각막이식술의 장기 임상성적에 대해 보고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1986년 11월부터 2011년 12월까지 반점각막이상증 환자 31명 46안을 대상으로 전층각막이식술을 시행하고 수술 전, 후의 최대교정시력, 각막내피세포의 변화율, 수술 후 합병증, 재발여부에 대해 분석하였다. 결과: 평균 경과 관찰 기간은 91.59 ± 3.2개월이었으며, 최대교정시력은 술 전 0.99 ± 0.24 logMAR에서 술 후 12개월째 0.38 ± 0.12 logMAR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각막내피세포의 감소율은 수술 후 12개월째 33.43 ± 21.65%, 36개월째 56.79 ± 19.42%로 나타났다. 이식 생존율은 수술 후 1년째 45안(98.2%), 2년째 44안(97.3%), 4년째 43안(94.6%), 8년째 40안(89.7%)이였다. 수술 후 합병증으로는 8안에서 녹내장이 발생하였으며, 반점각막이상증의 재발은 1안에서 관찰되었다. 결론: 반점각막이상증 환자에게 전층각막이식술은 장기간 관찰하여 시력 개선 효과와 높은 이식성공률을 기대할 수 있는 방법이다. Purpose: To report the long term clinical results of penetrating keratoplasty as a treatment for corneal macular dystrophy. Methods: Retrospective review of the medical record of 46 eyes (31 indivisuals) who underwent primary PK for corneal macular dystrophy at the Seoul St. Mary`s Hospital between November, 1986 and December, 2011. Data extracted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best-corrected visual acuity (BCVA), postoperative complications (including graft rejection episodes, and recurrent dystrophy), change of endothelial cell density at 1, 6, 12, 24, 36 months and yearly thereafter. Results: After a mean follow-up period of 91.59 ± 3.2 months, the mean BCVA was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penetrating keratoplasty. Endothelial cell loss rate was marked during the 1st year after penetrating keratoplasty. Graft survival was 40 graft (89.7%) at 8yr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d likelihood of graft failure if the patient was older than 40 years at the time of surgery (p = 0.03). Glaucoma as postoperative complication was 17.4%. Clinically significant recurrence was 2%. Conclusions: Penetrating keratoplasty is associated with a good visual outcome and prognosis for graft survival of long-term efficacy with a low complication rate in eyes with macular corneal dystrophy.
ISSN:0378-6471
2092-9374
DOI:10.3341/jkos.2012.53.10.14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