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체적출안구에서 트리판 블루를 사용하여 계측한 상사근과 상직근 간의 해부학적 위치관계

목적: 트리판 블루(Trypan blue)의 사용이 상사근건의 위치와 범위를 보다 정확히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되는지 여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본교에서 해부실습용으로 사용된 사체 11구 22안을 대상으로 안구적출술을 시행한 후, 상직근 비측 부착부에서 상사근건 전연까지의 최단거리와 상직근 이측 부착부에서 상사근 부착부 전연까지의 거리, 그리고 상사근 부착부의 최대폭을 계측하였다. 이후 상사근건에 트리판 블루를 도포한 후, 위의 동일한 세 지점에서 계측하여 트리판 블루 사용 전후의 계측치를 비교하였다. 결과: 상직근 비...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Daihan angwa haghoi jabji 2012, 53(10), , pp.1488-1492
Hauptverfasser: 신용태, Yong Tae Shin, 전보영, Bo Young Chun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목적: 트리판 블루(Trypan blue)의 사용이 상사근건의 위치와 범위를 보다 정확히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되는지 여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본교에서 해부실습용으로 사용된 사체 11구 22안을 대상으로 안구적출술을 시행한 후, 상직근 비측 부착부에서 상사근건 전연까지의 최단거리와 상직근 이측 부착부에서 상사근 부착부 전연까지의 거리, 그리고 상사근 부착부의 최대폭을 계측하였다. 이후 상사근건에 트리판 블루를 도포한 후, 위의 동일한 세 지점에서 계측하여 트리판 블루 사용 전후의 계측치를 비교하였다. 결과: 상직근 비측 부착부에서 상사근건 전연까지의 평균거리, 상직근 이측 부착부에서 상사근 부착부 전연까지의 평균거리는 염색 전후 계측값 간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상사근 부착부 최대폭의 평균값은 10.32 mm였고, 염색 후 측정한 평균 값은 10.76 mm로 염색 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2). 결론: 트리판 블루 염색으로 상사근건의 위치 및 범위를 보다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었다. Purpose: To recognize the anatomical positions of the superior oblique muscle in enucleated eyes using trypan blue. Methods: Twenty-two surgically-enucleated eyes of 11 bodies were studied. The shortest distance from the nasal insertion of superior rectus to the anterior end of the superior oblique tendon, the distance from the temporal insertion of superior rectus to the anterior end of the superior oblique insertion, and the greatest width of superior oblique tendon insertion were measured by caliper 3 consecutive times. The average values in each of the above 3 points were calculated, and values prior to and after trypan blue staining were compared. Results: Prior to staining with trypan blue, the average distance from the nasal insertion of superior rectus to the anterior end of the superior oblique tendon was 4.97 mm and the average distance from the temporal insertion of superior rectus to the anterior end of the superior oblique insertion was 7.57 mm; after staining with trypan blue, the average values were 5.09 mm and 7.65 mm, respectively. There was no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in values prior to and after staining (p > 0.05). Prior to staining, the average value of the greatest width of the superior oblique tendon was 10.32 mm, and after staining with trypan blue, the average value increased to 10.76 mm. There was a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the values (p = 0.02). Conclusions: Trypan blue staining helped to recognize the location and the width of the superior oblique tendon more precisely.
ISSN:0378-6471
2092-9374
DOI:10.3341/jkos.2012.53.10.14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