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상 및 원추각막에서 각막 전, 후면의 융기 및 시상면만곡도의 비교분석

목적: 원추각막의 정도에 따른 Pentacam(R)의 각막 전, 후면의 융기 및 시상면만곡도의 변화와 정상안과 차이를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원추각막 81안과 정상 20안을 대상으로 Pentacam(R)을 촬영하였다. 원추각막안은 각막굴절률 평균값에 따라 경도(≤47 diopter (D)), 중등도(47-52D), 중증(≥52D)으로 나누고, 각막두께, 굴절률, 각막 전, 후면 융기와 시상면만곡도를 측정하고 정상안과 원추각막의 연관성을 조사하였다. 결과: 원추각막 81안 중 경도 56안, 중등도 12안, 중증 13안이었고,...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Daihan angwa haghoi jabji 2012, 53(10), , pp.1432-1437
Hauptverfasser: 이종수, Jong Soo Lee, 이승욱, Seung Wook Lee, 이승민, Seung Min Lee, 이미현, Mi Hyun Lee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목적: 원추각막의 정도에 따른 Pentacam(R)의 각막 전, 후면의 융기 및 시상면만곡도의 변화와 정상안과 차이를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원추각막 81안과 정상 20안을 대상으로 Pentacam(R)을 촬영하였다. 원추각막안은 각막굴절률 평균값에 따라 경도(≤47 diopter (D)), 중등도(47-52D), 중증(≥52D)으로 나누고, 각막두께, 굴절률, 각막 전, 후면 융기와 시상면만곡도를 측정하고 정상안과 원추각막의 연관성을 조사하였다. 결과: 원추각막 81안 중 경도 56안, 중등도 12안, 중증 13안이었고, 평균 각막중심굴절력은 49.7D, 각막 전, 후면 융기는 22.07 μm, 38.16 μm, 시상면만곡도는 52.76D으로 정상안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원추각막의 정도가 심할수록 증가하였다. ROC 커브 분석으로 각막 전, 후면의 융기와 시상면만곡도에서 원추각막의 진단을 위한 의미 있는 수치를 얻었다. 결론: 원추각막의 Pentacam(R) 수치가 각막 전, 후면 융기가 각각 5.5 μm, 12.5 μm이고, 시상면만곡도가 44.5D일 때, 원추각막의 확진에 도움이 되며, 원추각막의 진행을 평가하는 데도 기여할 것으로 생각한다. Purpose: To compare changes of anterior and posterior corneal elevation, and sagittal curvature according to the severity of keratoconus and to compare differences between keratoconus and normal cornea. Methods: A total of 81 eyes diagnosed with keratoconus and 20 eyes of normal subjects were evaluated with a Pentacam Scheimpflug camera. The keratoconus eyes were divided into 3 groups according to mean keratometer (K): mild (K ≤ 47.0 diopters (D)), moderate (47.0 to 52.0 D), and severe (52.0 D≥). The following parameters were obtained to evaluate the correlation of keratoconus: corneal thickness, anterior and posterior corneal elevation, and sagittal curvature. Results: Out of 81 keratoconus eyes, 56 eyes were mild, 12 eyes were moderate, and 13 eyes were severe keratoconus. The mean central corneal keratometer, anterior and posterior corneal elevation, and sagittal curvature of the keratoconus eyes were 49.7 D, 22.07 μm, 38.16 μm, 52.76 D and the values increased statistically compared to the normal eyes. Furthermore, the values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the severity of keratoconus. ROC curve analysis showed the estimated meaningful value for anterior and posterior corneal elevation and sagittal curvature of keratoconus for diagnosis; there were no diagnostic values for corneal thickness and refractive power. Conclusions: The index of 5.5 μm for mean anterior elevation, 12.5 μm for mean posterior elevation, and 44.5 μm for mean sagittal curvature using the Pentacam(R) are useful to diagnose keratoconus. Variation of anterior and posterior elevation, and sagittal curvature measured by Pentacam(R) are useful in understanding the process of keratoconus.
ISSN:0378-6471
2092-9374
DOI:10.3341/jkos.2012.53.10.14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