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정체비늘증후군 환자에서 각막내피세포의 변화

목적: 단안 수정체비늘증후군 환자에서 수정체비늘증후군의 이환 여부에 따른 각막내피세포의 형태학적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00년 3월부터 2011년 2월까지 영남대학교병원에서 단안 수정체비늘증후군으로 진단받은 환자 72명(144안)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경면현미경검사와 각막두께검사를 이용하여 양안의 각막내피세포와 각막두께를 비교하였으며 안내 수술을 시행한 경우 수술의 빈도와 수술 전후의 각막내피세포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결과: 수정체비늘증후군에 이환된 눈에서 더 낮은 각막내피세포 밀도를 보였지만 통...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Daihan angwa haghoi jabji 2012, 53(11), , pp.1649-1656
Hauptverfasser: 노동현, Dong Hyoun Noh, 임수호, Su Ho Lim, 차순철, Soon Cheol Cha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목적: 단안 수정체비늘증후군 환자에서 수정체비늘증후군의 이환 여부에 따른 각막내피세포의 형태학적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00년 3월부터 2011년 2월까지 영남대학교병원에서 단안 수정체비늘증후군으로 진단받은 환자 72명(144안)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경면현미경검사와 각막두께검사를 이용하여 양안의 각막내피세포와 각막두께를 비교하였으며 안내 수술을 시행한 경우 수술의 빈도와 수술 전후의 각막내피세포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결과: 수정체비늘증후군에 이환된 눈에서 더 낮은 각막내피세포 밀도를 보였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고(2587.0 ± 391.0 vs.2626.8 ± 354.6 cells/mm2, p=0.321), 변이계수, 육각형세포비율, 각막두께검사에서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수정체비늘증후군안에서 반대안에 비해 높은 안내 수술 빈도를 보였으며(p<0.001) 각막내피세포 감소량도 더 높게 나타났다(p=0.007). 결론: 단안 수정체비늘증후군 환자에서 각막내피세포의 경면현미경 소견 및 각막두께는 양안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다만, 수정체 비늘증후군에 이환된 눈에서 보다 많은 안내 수술이 필요하고, 그로 인한 각막내피세포의 소실이 많은 점을 염두에 두고, 수술자는 수술 전 경면현미경검사를 통한 각막내피세포의 변화를 평가하고 수술 후 각막부종의 가능성을 고려하여야 한다. Purpose: To compare the corneal endothelial cell changes in both eyes of Korean patients with clinically unilateral exfoliation syndrome using specular microscopy. Methods: A total of 144 eyes of 72 patients diagnosed with clinically unilateral exfoliation syndrome at Yeungnam University Hospital between March 2000 and February 2011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Comparisons of corneal morphometric analysis were made including endothelial cell density, coefficient of variation, hexagonality, and central corneal thickness between the exfoliative and fellow non-exfoliative eyes in 72 patients with naive unilateral exfoliation syndrome. If patients received intraocular surgery during the follow-up periods, the number of intraocular surgeries and changes of the above-mentioned morphometric analysis were evaluated. Results: The paired exfoliative and fellow non-exfoliative eyes did not differ in endothelial cell density (2587.0 ± 391.0 vs. 2626.8 ± 354.6 cells/mm2, p = 0.321), in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of cell size (35.9 ± 5.1 vs. 37.1 ± 4.7%), hexagonality (59.5 ± 7.3 vs. 57.8 ± 6.3%), and central corneal thickness (530.5 ± 37.6 vs. 532.0 ± 35.2 μm). However, the exfoliative eyes had significantly higher values for the number of intraocular surgeries (0.97 ± 0.78 vs. 0.28 ± 0.48, p < 0.001) and decrement of corneal endothelial cells (410.9 ± 538.7 vs. 19.0 ± 284.5 cells/mm2, p = 0.007). Conclusions: There were no significant morphologic differences in corneal endothelium between exfoliative eyes and fellow eyes in the present study. However, the authors suggest that specular microscopic examination be performed before intraocular surgery in eyes with exfoliation syndrome when considering the higher frequency of intraocular surgeries and the resultant corneal endothelial damages
ISSN:0378-6471
2092-93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