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유주세포에서 아스코르빈산이 산화스트레스에 대한 세포노화에 미치는 영향
목적: 섬유주세포에서 아스코르빈산이 산화스트레스에 의한 세포노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섬유주세포를 일차배양한 뒤 0, 10, 100 μM의 과산화수소에 노출시켜 7일간 배양하였으며 동시에 아스코르빈산에도 노출시켰다. 세포생존과 일산화질소의 생성을 MTT assay와 Griess assay로 조사하였으며, 세포노화의 정도를 SA-β-gal 염색을 시행하여 조사하였다. 결과: 과산화수소는 섬유주세포의 생존과 일산화질소의 생성을 감소시켰으나 고농도의 아스코르빈산을 동시에 처리한 경우 세포생존과 일산화질소의 생...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Daihan angwa haghoi jabji 2013, 54(3), , pp.490-495 |
---|---|
Hauptverfasser: | ,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목적: 섬유주세포에서 아스코르빈산이 산화스트레스에 의한 세포노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섬유주세포를 일차배양한 뒤 0, 10, 100 μM의 과산화수소에 노출시켜 7일간 배양하였으며 동시에 아스코르빈산에도 노출시켰다. 세포생존과 일산화질소의 생성을 MTT assay와 Griess assay로 조사하였으며, 세포노화의 정도를 SA-β-gal 염색을 시행하여 조사하였다. 결과: 과산화수소는 섬유주세포의 생존과 일산화질소의 생성을 감소시켰으나 고농도의 아스코르빈산을 동시에 처리한 경우 세포생존과 일산화질소의 생성이 증가되었으며 과산화수소에 의한 세포노화가 6.8% 감소되었다(p<0.05). 결론: 섬유주세포에서 아스코르빈산은 과산화수소에 의한 산화스트레스에 대해 세포노화를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L-ascorbic acid (LAA) on oxidative-stress-induced cellular senescence in trabecular meshwork (TM) cells. Methods: Primarily cultured human TM cells were exposed to 0, 10, or 100 μM hydrogen peroxide for 7 days with or without co-exposure of LAA. Cellular survival and nitrite production were assessed with MTT and Griess assays, respectively. SA- β-gal staining was performed to quantify cellular senescence. Results: Hydrogen peroxide decreased cellular survival, accompanied by decreased nitric oxide (NO) production. These decreases of cellular survival and NO production were abolished by co-exposure of 100 μM LAA. Analysis of SA-β-gal staining revealed that LAA inhibited hydrogen peroxide-induced cellular senescence by 6.8% (p < 0.05). Conclusions: LAA may have a protective effect against the oxidative-stress-induced cellular senescence in TM cells. J Korean Ophthalmol Soc 2013;54(3):490-495 |
---|---|
ISSN: | 0378-6471 2092-937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