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프트리악손 투여와 관련된 폐쇄성 망막혈관염

목적: 양안의 폐쇄성 망막혈관염이 세프트리악손의 정맥투여에 의한 것으로 추정되는 증례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26세 여자가 2일 전 전신의 아나필락시스양 반응을 동반한 갑작스런 좌안의 시력 저하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환자는 최근에 좌측 발목의 만성골수염의 악화로 안과 내원 전 14일 동안 아홉 차례 세프트리악손(2 g/day)을 하루 1회씩 정맥투여 받았다. 일곱번째 투여시까지는 특이반응이 없었으나 여덟 번째와 아홉 번째 주사 직후에는 전신의 아나필락시스양 반응이 있었다. 초진 당시 최대 교정시력은 우안 1.0,...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Daihan angwa haghoi jabji 2013, 54(3), , pp.508-512
Hauptverfasser: 석주용, Ju Yong Seok, 이승재, Seung Jae Lee, 오민진, Min Jin Oh, 이수영, Soo Young Lee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목적: 양안의 폐쇄성 망막혈관염이 세프트리악손의 정맥투여에 의한 것으로 추정되는 증례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26세 여자가 2일 전 전신의 아나필락시스양 반응을 동반한 갑작스런 좌안의 시력 저하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환자는 최근에 좌측 발목의 만성골수염의 악화로 안과 내원 전 14일 동안 아홉 차례 세프트리악손(2 g/day)을 하루 1회씩 정맥투여 받았다. 일곱번째 투여시까지는 특이반응이 없었으나 여덟 번째와 아홉 번째 주사 직후에는 전신의 아나필락시스양 반응이 있었다. 초진 당시 최대 교정시력은 우안 1.0, 좌안 0.1 이었으며, 우안 망막의 상비측과 좌안 망막의 사분면 모두에서 망막출혈 및 집형성(sheathing)이 관찰되었다. 양안의 전안부 및 유리체 내 염증은 없었으며, 자가면역질환이나 감염성 질환을 시사하는 이상 소견은 없었다. 초진으로부터 25개월 후 좌안의 최대교정시력은 0.02였고 우안의 시력과 망막은 정상이었다. 결론: 세프트리악손의 투여와 관련하여 폐쇄성 망막혈관염이 발생할 수 있으며, 원인이 명확하지 않은 망막혈관염에서 병력청취와 더불어 충분한 면역학적, 혈청학적 검사가 진단 및 예후 예측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Purpose: To report a case of bilateral occlusive retinal vasculitis presumed to be associated with intravenous ceftriaxone injection. Case summary: A 26-year-old woman presented with a sudden visual impairment which developed 2 days earlier in her left eye combined with an anaphylactoid reaction. The patient was administered intravenous ceftriaxone (2 g / day) 9 times for 14 days due to aggravation of chronic osteomyelitis on her left ankle. There were no adverse events until the 7th intravenous ceftriaxone administration. However, anaphylactoid reactions occurred shortly after the 8th and 9th administration. On the 1st visit, her best corrected visual acuity in the right eye was 1.0, and in the left eye 0.1. On fundus examination, retinal hemorrhages and perivascular sheathing were observed in the superonasal area in the right eye and in the entire retina in the left eye. Anterior chamber cell reactions were not noted on slit lamp examination, and vitritis was absent in both eyes. Laboratory data showed no conclusive evidence of autoimmune or origin of infection. On the last visit, 25 months after the initial visit, the patient`s best corrected visual acuity was 0.02 in the left eye and visual acuity and fundus appearance were normal in the right eye. Conclusions: Bilateral occlusive retinal vasculitis may be associated with intravenous ceftriaxone injection, and immunological and serological tests should be performed thoroughly along with history taking to clarify the cause of retinal vasculitis. J Korean Ophthalmol Soc 2013;54(3):508-512
ISSN:0378-6471
2092-93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