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피통과굴절교정레이저각막절제술 후 스테로이드 점안액 조기 사용이 미치는 영향

목적: 상피통과굴절교정레이저각막절제술 후 스테로이드 점안액 조기 사용이 술 후 상피재생과 시력회복 및 각막 혼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상피통과굴절교정레이저각막절제술을 시행한 200명(400안)을 두 군으로 나누어 100명(200안, 조기사용 군)은 수술 직후 부터 스테로이드 점안액을 사용하였고, 100명(200안, 지연사용 군)은 치료용 콘텍트렌즈를 제거한 후 스테로이드 점안액을 사용하였다. 두 군에서 각막상피재생에 걸린 시간, 술 후 3, 6개월의 시력 및 각막혼탁을 비교하였다. 결과: 조기사용 군은...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Daihan angwa haghoi jabji 2013, 54(4), , pp.574-580
Hauptverfasser: 김욱겸, Wook Kyum Kim, 조은영, Eun Young Cho, 김희선, Hee Sun Kim, 김진국, Jin Kuk Kim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목적: 상피통과굴절교정레이저각막절제술 후 스테로이드 점안액 조기 사용이 술 후 상피재생과 시력회복 및 각막 혼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상피통과굴절교정레이저각막절제술을 시행한 200명(400안)을 두 군으로 나누어 100명(200안, 조기사용 군)은 수술 직후 부터 스테로이드 점안액을 사용하였고, 100명(200안, 지연사용 군)은 치료용 콘텍트렌즈를 제거한 후 스테로이드 점안액을 사용하였다. 두 군에서 각막상피재생에 걸린 시간, 술 후 3, 6개월의 시력 및 각막혼탁을 비교하였다. 결과: 조기사용 군은 3.50 ± 1.46일에, 지연사용 군은 3.14 ± 0.50일에 치료용 콘텍트렌즈를 제거하였다(p?0.01). 각막상피가 다시 벗겨진 경우는 8안이었고 모두 조기사용 군에서 발생하였다. 술 후 3개월, 6개월의 시력과 술 후 3개월의 각막혼탁은 두 군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술 후 6개월의 각막혼탁은 지연사용 군에서 12안(6%)으로 조기사용 군의 2안(1%)에 비해 높았다(p=0.01). 결론: 상피통과굴절교정레이저각막절제술 후 스테로이드 점안액 조기 사용은 각막상피의 부착을 지연시키는 반면 술 후 각막혼탁은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Purpose: To evaluate the clinical effects of early topical steroid treatment on corneal epithelium healing and postoperative corneal haziness after trans-epithelial photorefractive keratectomy (Trans PRK). Methods: A total of 400 eyes from 200 patients who received Trans PRK with the Schwind Amaris laser platform (SCHWIND eye-tech solutions, Kleinostheim, Germany) were included in the present study. In 200 eyes (100 patients, early treated group) topical steroid was used from operation day but in the other 200 eyes (100 patients, late treated group) topical steroid was not used until therapeutic contact lenses were removed. The epithelial healing time, corneal haziness and visual acuity at postoperative 3, and 6 months were compared between the 2 groups. Results: The therapeutic contact lenses could be removed at postoperative 3.50 ± 1.46 days and 3.14 ± 0.50 days in the early treated group and late treated group, respectively (p < 0.01). Breakdown of the epithelium after removal of therapeutic contact lenses occurred in 8 eyes, which were all in the early treated group. The difference of the visual acuity at postoperative 3 and 6 months between the 2 group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at postoperative 6 months, the corneal opacity developed in 12 eyes (6%) in the late treated group and 2 eyes (1%) in the early treated group (p = 0.01). Conclusions: Early treatment with topical steroid can delay corneal epithelial healing, especially the attachment of epithelium to stroma. However, the treatment can reduce the prevalence of corneal opacity after Trans PRK.
ISSN:0378-6471
2092-93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