칸디다와 세균의 복합 각막염 5예

목적: 칸디다와 세균 복합 각막염을 보인 증례들을 경험하여 임상양상 및 예후에 대해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각막도말 및 배양검사상 칸디다와 세균 복합 각막염으로 진단받은 환자 5명, 5안의 평균 나이는 62.80세였으며 남자는 1명(20%), 여자는 4명(80%)이었다. 5명 모두 과거 안질환 혹은 전신질환 등 칸디다 각막염의 위험요인을 가지고 있었다. 칸디다종 중 3안(60.0%)에서 Candida albicans가 배양되었으며, 복합된 세균 중 Staphylococcus가 3안(60.0%)에서 배양되어 빈번히 관찰되었다....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Daihan angwa haghoi jabji 2013, 54(5), , pp.818-822
Hauptverfasser: 양영훈, Young Hoon Yang, 유인천, In Cheon You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목적: 칸디다와 세균 복합 각막염을 보인 증례들을 경험하여 임상양상 및 예후에 대해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각막도말 및 배양검사상 칸디다와 세균 복합 각막염으로 진단받은 환자 5명, 5안의 평균 나이는 62.80세였으며 남자는 1명(20%), 여자는 4명(80%)이었다. 5명 모두 과거 안질환 혹은 전신질환 등 칸디다 각막염의 위험요인을 가지고 있었다. 칸디다종 중 3안(60.0%)에서 Candida albicans가 배양되었으며, 복합된 세균 중 Staphylococcus가 3안(60.0%)에서 배양되어 빈번히 관찰되었다. 각막 병변의 크기는 평균 7.02 ㎟였으며 위치상 중심부에 발생한 경우가 2안(40%)이었다. 각막침윤의 깊이는 5안 모두 심층부를 침범하였으며, 2안(40%)에서 전방축농이 관찰되었다. 초진 시 시력은 5안 모두 안전수지 이하였으며, 4안(80%)에서 전신 및 국소적 약물 치료에 반응하지 않아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였으나 최종 경과 관찰 시 전신 및 국소적 약물 치료에 반응한 1안(20%)에서만 한줄 이상의 시력 호전을 보였다. 결론: 안구표면의 방어기전이 만성적으로 저하된 각막에서 칸디다와 세균의 복합 각막염은 나쁜 예후를 보이므로 이의 가능성을 고려해야 한다. Purpose: To report the clinical manifestations and prognoses in 5 cases of mixed Candida and bacterial keratitis and present a literature review on mixed fungal and bacterial keratitis. Case summary: Five eyes of 5 patients (1 male, 4 female) diagnosed as mixed Candida and bacterial keratitis by corneal smear and culture were included in the present study. Patient mean age was 62.80 years. All patients had preexisting ocular or systemic conditions as predisposing factors for mixed Candida and bacterial keratitis. The most common Candida species isolated was Candida albicans (3 eyes, 60%), while Staphylococcus (3 eyes, 60%) was the most common mixed bacterial species. The average size of ulceration was 7.02 ㎟. In 2 eyes (40%), the lesions were located at the corneal center. The depth of the infiltration was significant in all cases, and hypopyon was present in 2 eyes (40%). On the initial visit, the visual acuity was counting fingers or worse in all cases. Four eyes (80%) unresponsive to the topical and systemic treatment underwent surgical intervention but only 1 eye (20%), which had responded to the topical and systemic treatment, showed acuity improvement of more than 1 line on the final visit. Conclusions: In managing chronically compromised cornea, the possibility of mixed infections with Candida and bacterial organisms should be considered as keratitis shows poor prognosis. J Korean Ophthalmol Soc 2013;54(5):818-822.
ISSN:0378-6471
2092-93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