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막노출법으로 익상편 제거술을 시행 받은 환자에서 발생한 내사시의 임상양상과 치료

목적: 공막노출법으로 익상편수술을 시행 받은 환자에서 발생한 내사시의 임상양상과 치료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08년부터 2011년까지 익상편 수술 후 내사시가 발생한 환자 12명, 20안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본 연구에서는 익상편 술 후 평균 2.8 ± 1.6개월(1-6개월)에 복시가 발생하였다. 초진 시 평균 원거리 내사시각은 19.4 ± 8.9 PD (8-40 PD)였으며, 평균 근거리 내사시각은 16 ± 7.3 PD (0-30 PD)로 관찰되었으며, 익상편 술안의 외전장애가 관찰되었다....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Daihan angwa haghoi jabji 2013, 54(5), , pp.771-776
Hauptverfasser: 조성호, Seong Ho Jo, 이지은, Ji Eun Lee, 최희영, Hee Young Choi, 정재호, Jae Ho Jung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목적: 공막노출법으로 익상편수술을 시행 받은 환자에서 발생한 내사시의 임상양상과 치료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08년부터 2011년까지 익상편 수술 후 내사시가 발생한 환자 12명, 20안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본 연구에서는 익상편 술 후 평균 2.8 ± 1.6개월(1-6개월)에 복시가 발생하였다. 초진 시 평균 원거리 내사시각은 19.4 ± 8.9 PD (8-40 PD)였으며, 평균 근거리 내사시각은 16 ± 7.3 PD (0-30 PD)로 관찰되었으며, 익상편 술안의 외전장애가 관찰되었다. 복시 치료를 위해서 2명은 프리즘 안경, 2명은 결막유착해리술, 8명은 내직근 후전술 및 술중 조정술을 시행 받았다. 결막유착해리술을 시행 받은 2명은 내사시 재발로 내직근 후전술 및 술중 조정술을 추가로 시행 받았다. 수술을 시행 받은 환자 10명 중 7명(70%)에서 정위를 유지하였고, 술 후 합병증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공막노출법으로 익상편 수술을 시행한 경우 술 후 유착으로 제한성 내사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사시 발생 시 내직근 후전술 및 결막 복원술이 효과적인 치료방법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Purpose: The clinical features of esotropia after bare scleral pterygium surgery and dipolpia treatment results were evaluated in the present study. Methods: Twenty eyes of 12 patients who had esotropia after bare sclera pterygium surgery from 2008 to 2011 were retrospectively investigated. Results: Diplopia occurred at 2.8 ± 1.6 months (1-6 months) after pterygium surgery. The mean pre-operative angle of esotropia was 19.4 ± 8.9 PD (8-40 PD) at distance and 16 ± 7.3 PD (0-30 PD) at near. All patients showed limitation of abduction in the pterygium operated eye. Two patients were prescribed prism glasses, 2 patients underwent conjunctiva surgery, and medial rectus recession with simultaneous intraoperative adjustment surgery was performed in 8 patients. An additional strabismus operation was required for 2 patients who received conjunctival surgery due to diplopia recurrence. Seven patients (70%) showed orthotropia at 3 months. Conclusions: In this study, diplopia following postoperative adhesion caused by bare sclera pterygium surgery technique was observed. Conjunctiva-perimuscular scar tissue removal and medial rectus recession were effective methods in eliminating diplopia. J Korean Ophthalmol Soc 2013;54(5):771-776.
ISSN:0378-6471
2092-93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