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천성 눈물소관 생성부전 1예

목적: 선천성 눈물소관 생성부전 환자에 대한 증례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만성적인 양안 눈물흘림을 호소하는 45세 여자가 내원하였다. 특이한 과거력은 없었으며, 다른 안과적인 이상은 발견되지 않았다. 세극등검사에서 양측 위, 아래에 각각 두 개의 눈물점이 보였으며, 위, 아래에 덧눈물점은 눈꺼풀 경계를 따라 눈꺼풀안쪽에 위치하고 있었고, 가늘고 긴 모양이었다. 눈물길더듬자검사에서 위, 아래에 눈물소관이 폐쇄되어 있었다. 내시경하 존스관을 이용한 결막눈물주머니코안연결술을 양쪽 눈에 시행하였다. 수술 후 만성적인 양...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Daihan angwa haghoi jabji 2013, 54(6), , pp.958-961
Hauptverfasser: 천지웅, Ji Woong Chun, 양성원, Seong Won Yang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목적: 선천성 눈물소관 생성부전 환자에 대한 증례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만성적인 양안 눈물흘림을 호소하는 45세 여자가 내원하였다. 특이한 과거력은 없었으며, 다른 안과적인 이상은 발견되지 않았다. 세극등검사에서 양측 위, 아래에 각각 두 개의 눈물점이 보였으며, 위, 아래에 덧눈물점은 눈꺼풀 경계를 따라 눈꺼풀안쪽에 위치하고 있었고, 가늘고 긴 모양이었다. 눈물길더듬자검사에서 위, 아래에 눈물소관이 폐쇄되어 있었다. 내시경하 존스관을 이용한 결막눈물주머니코안연결술을 양쪽 눈에 시행하였다. 수술 후 만성적인 양안 눈물흘림은 호전되었다. 결론: 아직 우리나라에 보고되지 않은 8개의 눈물점과 동반된 선천성 눈물길 생성부전 환자에서 내시경하 존스관을 이용한 결막눈물주머니코안연결술을 시행하였고, 국내최초로 경험하였기에 보고하고자 한다. Purpose: To report a case of congenital lacrimal outflow dysgenesis with supernumerary lacrimal puncta. Case summary: A 45-years-old woman presented with chronic bilateral epiphora with no specific medical history. Slit lamp examination revealed bilateral upper and lower double puncta. The accessory puncta were situated along the lid margin, medial to the normal one and had a typical slit configuration. Additionally, there was a lower canalicular system block that appeared unresponsive to simple probing. Bilateral endoscopic conjunctivodacryocystorhinostomy with Jones tube was performed. Chronic bilateral epiphora was relieved after bilateral endoscopic conjunctivodacryocystorhinostomy with Jones tube. Conclusions: A case of congenital lacrimal outflow dysgenesis with supernumerary lacrimal puncta was observed, which has not been previously reported in Korea. Surgical repair of the congenital lacrimal outflow dysgenesis with supernumerary lacrimal puncta should be considered to achieve a functional recovery of the lacrimal drainage system. J Korean Ophthalmol Soc 2013; 54(6):958-961
ISSN:0378-6471
2092-93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