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음파유화술의 방법에 따른 수술과정 및 결과의 차이

목적: 백내장 수술에서 분할 정복 방법과 여러 번 쪼개기 방법에 따른 수술 과정 및 술후 결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양안 백내장 수술을 한 환자를 대상으로 한 눈은 분할 정복 방법(D안)으로 반대편 눈은 차에 의해 개발된 여러 번 쪼개기 방법(M안)을 이용하여 초음파유화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방법에 따른 각막두께의 변화, 총 초음파 사용 시간 및 초음파에너지의 차이를 조사하였다. 결과: 총 29명이 기준을 만족하였다. 수술 전후의 중심부각막두께 변화는 D안에서 8.4 ± 11.8 μm, M안에서 11.5 ± 16.7...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Daihan angwa haghoi jabji 2013, 54(9), , pp.1353-1358
Hauptverfasser: 김소아, So A Kim, 고동아, Dong Ah Ko, 김재용, Jae Yong Kim, 김명준, Myoung Joon Kim, 차흥원, Hung Won Tchah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목적: 백내장 수술에서 분할 정복 방법과 여러 번 쪼개기 방법에 따른 수술 과정 및 술후 결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양안 백내장 수술을 한 환자를 대상으로 한 눈은 분할 정복 방법(D안)으로 반대편 눈은 차에 의해 개발된 여러 번 쪼개기 방법(M안)을 이용하여 초음파유화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방법에 따른 각막두께의 변화, 총 초음파 사용 시간 및 초음파에너지의 차이를 조사하였다. 결과: 총 29명이 기준을 만족하였다. 수술 전후의 중심부각막두께 변화는 D안에서 8.4 ± 11.8 μm, M안에서 11.5 ± 16.7 μm였으며 (p=0.350), 초음파 사용 시간은 D안에서 70.1 ± 32.9초, M안에서 71.1 ± 55.0초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689). 초음파에너지는 D안에서 12.4 ± 8.3 power × s, M안에서 8.4 ± 9.9 power × s로 M안에서 D안보다 유의하게 적은 값을 나타내었다(p<0.001). 결론: 분할 정복 방법과 여러 번 쪼개기 방법은 각막두께변화, 초음파 사용 시간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여러 번 쪼개기 방법 사용시 분할 정복 방법보다 더 적은 초음파에너지를 사용할 수 있었다. Purpose: To compare intraoperative parameters and postoperative results between divide-and-conquer and multiple phaco- chop technique. Methods: Two different techniques were performed by one operator on the patients with bilateral cataract. One eye was phacoemulsified by divide-and-conquer technique (D eye), and the other was performed by multiple phaco-chop technique (M eye). Changes of central corneal thickness during the operation, total phaco-time and phaco-energy were measured. Results: Total 29 patients were included. The change of central corneal thickness were 8.4 ± 11.8 μm in D eye and 11.5 ± 16.7 μm in M eye, which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p = 0.350) and total phaco-time were 70.1 ± 32.9 seconds in D eye and 71.1 ± 55.0 seconds in M eye, which also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p = 0.689). However, phaco-energy were 12.4 ± 8.3 power × s in D eye and 8.4 ± 9.9 power × s in M eye, and this result showed significantly larger energy when using divide-and-conquer technique (p < 0.001). Conclusion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hange of central corneal thickness and phaco-time between two techniques, divide-and-conquer and multiple phaco-chop technique. However, significantly smaller phaco energy was used by multiple phaco-chop technique compared with divide-and-conquer technique. J Korean Ophthalmol Soc 2013;54(9):1353-1358
ISSN:0378-6471
2092-93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