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규모 불산 누출사고가 지역사회의 눈 건강에 미치는 영향

목적: 경상북도 구미 지역에서 발생한 불산 누출사고 후 지역사회에서 관찰된 안과적 단기 임상양상을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2012년 9월 27일 발생한 불산 누출사고 후 2012년 10월 31일까지 순천향대학교 구미병원에서 안과진료를 받은 32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의 특성 및 주관적인 안과적 증상, 이학적 검사를 통한 안과적 징후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안과진료를 받은 327명 중 203명(62.1%)이 사고지점으로부터 1,000 m 이내에서 불산에 노출되었으며, 3일 이상 불산에 노출된 환자는 131명(4...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Daihan angwa haghoi jabji 2013, 54(11), , pp.1663-1668
Hauptverfasser: 김용준, Yong Joon Kim, 박상혁, Sang Hyouk Park, 최경식, Kyung Seek Choi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목적: 경상북도 구미 지역에서 발생한 불산 누출사고 후 지역사회에서 관찰된 안과적 단기 임상양상을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2012년 9월 27일 발생한 불산 누출사고 후 2012년 10월 31일까지 순천향대학교 구미병원에서 안과진료를 받은 32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의 특성 및 주관적인 안과적 증상, 이학적 검사를 통한 안과적 징후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안과진료를 받은 327명 중 203명(62.1%)이 사고지점으로부터 1,000 m 이내에서 불산에 노출되었으며, 3일 이상 불산에 노출된 환자는 131명(40.1%)이었다. 불산 노출 후 증상발생까지는 평균 3.1 ± 3.5일이 소요되었다. 가장 흔한 안과적 증상은 안구통증(49.5%)과 결막충혈(37.9%)이었다. 이학적 검사상 결막충혈 및 각막미란이 142명(43.4%) 및 78명(23.9%)로 가장 많이 관찰되었으며, 그 외 결막수포 및 결막유두 등이 관찰되었으나 시력에 영향을 미칠만한 소견은 보이지 않았다. 결론: 지역사회에서 누출사고로 인하여 불산에 노출된 환자들의 임상양상을 살펴보았을 때 안구 표면에 심각한 변화를 유발하지는 않았으며 이는 누출 사고 후 대기 중 불산 농도가 높지 않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한다. Purpose: To report the ocular health of a community after an accidental release of hydrofluoric acid (HF). Methods: The hospital records of 327 patients that were exposed to HF between Sep 9, 2012 and Oct 31, 2012 were reviewe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ubjective ocular symptoms, and the ophthalmologic examination results of the patients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Results: Among the 327 patients, 203 patients (62.1%) were exposed to hydrofluoric acid (HF) within 1,000 m of the site of the accident. A total of 131 patients (40.1%) were exposed to HF over 3 days. The most frequently reported ocular symptoms after HF exposure were ocular pain (49.5%) and conjunctival hyperemia (37.9%). Conjunctival hyperemia (43.4%), corneal erosion (23.9%), conjunctiva papilla, and follicles (24.2% and 14.4%, respectively) were noted during ophthalmologic examinations, but 46.2% of patients were normal on examination. None of the patients had vision-threatening damages. Conclusions: In this study, severe ocular surface changes, which can affect vision, were not identified. This result could be explained by the low atmospheric HF concentration after the accident. J Korean Ophthalmol Soc 2013;54(11):1663-1668
ISSN:0378-6471
2092-93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