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연소성개방각녹내장 환자에서 섬유주절제술의 장기 성적

목적: 한국인 연소성개방각녹내장 환자에서 마이토마이신 C를 이용한 섬유주절제술의 성공률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대상과 방법: 2004년 1월부터 2013년 1월까지 섬유주절제술을 시행 받은 연소성녹내장 환자 29명 29안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수술 전과 술 후 1주, 1, 3, 6, 12개월째와 18개월 이후 마지막 방문시의 안압을 기록하고, 합병증 발생 여부를 조사하였다. 수술성공은 약물사용 여부와 관계 없이 안압이 21 mmHg 이하거나 수술 전 안압보다 20% 이상 하강한 경우로 정의하였...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Daihan angwa haghoi jabji 2014, 55(2), , pp.252-260
Hauptverfasser: 오은규, Eun Kyu Oh, 이은지, Eun Ji Lee, 정진욱, Jin Wook Jeoung, 김석환, Seok Hwan Kim, 김태우, Tae-woo Kim, 박기호, Ki Ho Park, 김동명, Dong Myoung Kim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목적: 한국인 연소성개방각녹내장 환자에서 마이토마이신 C를 이용한 섬유주절제술의 성공률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대상과 방법: 2004년 1월부터 2013년 1월까지 섬유주절제술을 시행 받은 연소성녹내장 환자 29명 29안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수술 전과 술 후 1주, 1, 3, 6, 12개월째와 18개월 이후 마지막 방문시의 안압을 기록하고, 합병증 발생 여부를 조사하였다. 수술성공은 약물사용 여부와 관계 없이 안압이 21 mmHg 이하거나 수술 전 안압보다 20% 이상 하강한 경우로 정의하였다. 수술실패와 관련된 위험인자를 Cox 비례위험회귀분석으로 알아보았다. 결과: 평균연령은 24.6 (± 8.9)세였고, 평균 추적관찰 기간은 24.3 (± 20.8)개월이었다. 총 추적관찰 기간 동안 전반적인 수술의 성공률은 82.8%였고, 카플란-마이어 생존분석법을 통해 구한 수술의 누적성공률은 1년째 100%, 2년째 87.4% 3년째 78.7%이었다. Cox 비례위험회귀분석 결과 수술실패와 유의한 관련성을 보이는 인자는 찾을 수 없었다. 술 후 합병증으로는 수술 직후 저안압(n=19, 65.5%),저안압성 황반병증(n=8, 27.6%), 테논낭포(n=8, 27.6%)가 가장 빈번하게 관찰되었으며, 대부분에서 추가적인 시술 또는 경과 관찰로 모두 호전되었고, 테논낭포가 관찰되었던 8안 중 2안은 재수술이 필요하였다. 시력에 영구적으로 영향을 미칠만한 합병증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한국인 연소성개방각녹내장에서 마이토마이신 C를 이용한 섬유주 절제술은 효과적인 치료방법으로 생각된다 Purpose: To evaluate the outcomes and prognostic factors of trabeculectomy with mitomycin C in Korean patients with juvenile open-angle glaucoma (JOAG). Methods: A retrospective review was performed on 29 eyes with JOAG who had undergone trabeculectomy between January 2004 and January 2013. Intraocular pressure (IOP) and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ere monitored at 1 day preoperatively, at 1 day, 1 week, 1 month, 3 months, 6 months, and 12 months postoperatively, and at final follow-up after postoperative 18 months. Surgical success was defined as a final IOP of
ISSN:0378-6471
2092-93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