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수정체 탈구에서 수술방법의 차이에 따른 술 후 결과 비교

목적: 인공수정체 탈구의 다양한 수술방법에 따른 임상적 결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의무기록을 바탕으로 한 후향적 연구를 통해 두 명의 술자에 의해 시행된 인공수정체 탈구의 증례 중 유리체절제술 시행여부에 따라 술 후 최대교정시력(logMAR)과 구면대응치를 포함한 결과를 비교하였다. 유리체절제술을 시행하지 않은 증례 중에 탈구된 인공수정체를 제거하고 이차인공수정체를 삽입한 경우와 탈구된 인공수정체를 제 위치에 다시 삽입한 증례들의 수술결과를 비교하였다. 결과: 유리체절제술을 하지 않은 군에서 유리체절제술을 시행한 군에...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Daihan angwa haghoi jabji 2014, 55(2), , pp.196-201
Hauptverfasser: 선재홍, Jae Hong Sun, 김재용, Jae Yong Kim, 김명준, Myoung Joon Kim, 윤영희, Young Hee Yoon, 차흥원, Hung Won Tchah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목적: 인공수정체 탈구의 다양한 수술방법에 따른 임상적 결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의무기록을 바탕으로 한 후향적 연구를 통해 두 명의 술자에 의해 시행된 인공수정체 탈구의 증례 중 유리체절제술 시행여부에 따라 술 후 최대교정시력(logMAR)과 구면대응치를 포함한 결과를 비교하였다. 유리체절제술을 시행하지 않은 증례 중에 탈구된 인공수정체를 제거하고 이차인공수정체를 삽입한 경우와 탈구된 인공수정체를 제 위치에 다시 삽입한 증례들의 수술결과를 비교하였다. 결과: 유리체절제술을 하지 않은 군에서 유리체절제술을 시행한 군에 비해 시력이 유의하게 좋았다(0.35 ± 0.37 vs. 0.54 ± 0.18;t-test, p=0.001). 유리체절제술을 하지 않은 군과 유리체절제술을 시행한 군간에 구면대응치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1.30 ± 1.10vs. 1.80 ± 1.57; p=0.24). 기존의 인공수정체를 그대로 이용한 군과 이차인공수정체를 넣은 군 간에도 시력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0.28 ± 0.40 vs. 0.40 ± 0.37; p=0.38), 구면대응치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1.66 ± 1.43 vs. 1.07 ± 0.79; p=0.19). 인공수정체를 기존 수정체낭에 넣거나 공막, 홍채고랑에 고정한 군들 사이에 술 후 시력과 구면대응치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p=0.49, 0.33)결론: 인공수정체 탈구 시 숙련된 술자에서 유리체절제술 유무 이외에 수술방법에 따른 최대교정시력과 구면대응치 등의 수술결과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생각한다. Purpose: To compare clinical outcomes of various surgical methods of intraocular lens dislocation correction surgery.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medical records of patients who underwent intraocular lens dislocation correction surgery with and without vitrectomy by two seasoned surgeons, and compared postoperative best corrected visual acuity and spherical equivalent. Clinical outcomes of secondary intraocular lens insertion after primary intraocular lens removal and primary intraocular lens reposition were compared among the cases without vitrectomy. Results: Dislocated intraocular lens correction without vitrectomy showed better postoperative visual acuity compared to procedures with vitrectomy (0.35 ± 0.37 vs. 0.54 ± 0.18; t-test, p = 0.001),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pherical equivalent (1.30 ± 1.10 vs. 1.80 ± 1.57; p = 0.24) between cases with and without vitrectomy. In comparing primary intraocular lens reposition and secondary intraocular lens insertion among the cases without vitrectomy, the outcomes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best corrected visual acuity (0.28 ± 0.40 vs. 0.40 ± 0.37; p = 0.38) or spherical equivalent (1.66 ± 1.43 vs. 1.07 ± 0.79; p = 0.19). In comparing secondary intraocular lens insertion into the capsular bag and fixation to the sclera, iris and iris sulcus, the outcomes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best corrected visual acuity (p = 0.49) or spherical equivalent (p = 0.33). Conclusions: The various intraocular lens correction methods examined did not show clin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best corrected visual acuity and spherical equivalent when performed by experienced surgeons, except for better postoperat
ISSN:0378-6471
2092-93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