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섹 후 잠복조절량 증가로 인한 일시적인 근시 편위

목적: 라섹 후 이른 시기에 근시를 보이는 환자들의 조절량과 경과를 분석하였다. 대상과 방법: 2012년 2월부터 3월까지 라섹을 받은 41안을 대상으로 했다. 수술 1개월 후 현성 굴절 검사상 -0.25D 초과의 근시 상태에서 특별한 치료 없이 근시 정도가 호전된 군을 1군으로, 나머지를 2군으로 분류하였다. 현성 및 조절 마비 하 굴절 검사 굴절값의 차이(CRSE-MRSE)를 구하여 잠복조절량이라 정의하고 두 군간에 차이를 비교하였다. 결과: 잠복조절량은 수술 전 1군(7안) 0.179 ± 0.426D, 2군(34안) 0.265...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Daihan angwa haghoi jabji 2014, 55(1), , pp.40-46
Hauptverfasser: 김규아, Gyu Ah Kim, 안지민, Ji Min Ahn, 정우석, Woo Suk Chung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목적: 라섹 후 이른 시기에 근시를 보이는 환자들의 조절량과 경과를 분석하였다. 대상과 방법: 2012년 2월부터 3월까지 라섹을 받은 41안을 대상으로 했다. 수술 1개월 후 현성 굴절 검사상 -0.25D 초과의 근시 상태에서 특별한 치료 없이 근시 정도가 호전된 군을 1군으로, 나머지를 2군으로 분류하였다. 현성 및 조절 마비 하 굴절 검사 굴절값의 차이(CRSE-MRSE)를 구하여 잠복조절량이라 정의하고 두 군간에 차이를 비교하였다. 결과: 잠복조절량은 수술 전 1군(7안) 0.179 ± 0.426D, 2군(34안) 0.265 ± 0.303D, 수술 1개월 후 1군 1.286 ± 0.664D, 2군 0.368 ± 0.536D, 수술 2개월 후 1군 0.500 ± 0.520D, 2군 0.489 ± 0.546D로 수술 1개월 후에 1군에서 2군보다 유의하게 컸다. 수술 2개월후 두 군간에 잠복조절량의 차이가 없어지면서 1군의 근시 편위가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결론: 라섹 1개월 후 일부 환자들은 잠복조절량의 증가에 따른 일시적인 근시 편위를 나타내었으며 이 경우 자연적으로 근시 편위가 감소하였다. 따라서 근시 퇴행 환자의 치료를 계획할 때 조절 마비 하 굴절검사를 함께 시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Purpose: To investigate accommodation and progress of patients who showed myopia on manifest refraction in the early postoperative period after LASEK. Methods: Forty-one eyes were included in the present study which had undergone LASEK surgery from February to March 2012. Seven eyes showed myopia over -0.25 D on manifest refraction at 1 month postoperatively, but showed decreased amount of myopia at 2 months postoperatively and were classified as group 1. The other 34 eyes were classified as group 2. The differences between cycloplegic and manifest refraction (CRSE-MRSE) were defined as the amount of latent accommodation and compared between the 2 groups. Results: Amount of latent accommodation was 0.179 ± 0.426 D in group 1 (7 eyes), 0.265 ± 0.303 D in group 2 (34 eyes) preoperatively, 1.286 ± 0.664 D in group 1, 0.368 ± 0.536 D in group 2 at 1 month postoperatively, and 0.500 ± 0.520 D in group 1, and 0.489 ± 0.546 D in group 2 at 2 months postoperatively. The amount of latent accommodation in group 1 was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at of group 2 one month postoperatively. As the amount of latent accommodation decreased, the amount of myopic shift decreased gradually over 2 months in group 1 after surgery. Conclusions: Transient myopic shift due to increased latent accommodation was observed in several patients one month postoperatively and the amount of myopic shift decreased with time without treatment. Thus, surgeons should consider cycloplegic refraction when planning treatment for patients with myopic regression. J Korean Ophthalmol Soc 2014;55(1):40-46
ISSN:0378-6471
2092-93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