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 신부전 환자에서 발생한 요독성 시신경병증

목적: 만성 신부전 환자에서 발생한 요독성 시신경병증(uremic optic neuropathy) 1예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만성 신부전으로 10년 전부터 복막 투석, 7년 전부터 혈액 투석을 받고 있는 40세 남자 환자가 2일 전부터 좌안으로 보면 어둡게 가려 보이고 눈동자를 돌릴 때 발생하는 통증과 압박감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우안은 특이소견이 발견되지 않았으나, 좌안은 최대교정시력이 0.2였고 시야 검사에서 하측 수평 시야 결손이 나타났으며 안저 검사 및 빛간섭단층촬영 검사에서 시신경부종이 관찰되었다. 좌안의 요독성...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Daihan angwa haghoi jabji 2016, 57(7), , pp.1187-1191
Hauptverfasser: 이지민(Ji Min Lee), 홍사민(Sa min Hong), 김찬윤(Chan Yun Kim), 성공제(Gong Je Seong)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목적: 만성 신부전 환자에서 발생한 요독성 시신경병증(uremic optic neuropathy) 1예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만성 신부전으로 10년 전부터 복막 투석, 7년 전부터 혈액 투석을 받고 있는 40세 남자 환자가 2일 전부터 좌안으로 보면 어둡게 가려 보이고 눈동자를 돌릴 때 발생하는 통증과 압박감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우안은 특이소견이 발견되지 않았으나, 좌안은 최대교정시력이 0.2였고 시야 검사에서 하측 수평 시야 결손이 나타났으며 안저 검사 및 빛간섭단층촬영 검사에서 시신경부종이 관찰되었다. 좌안의 요독성 시신경병증 또는 앞허혈시신경병증이 의심되어 혈액 투석과 고용량 스테로이드 정맥 주사를 시행하였다. 치료후 좌안의 최대교정시력은 0.8로 회복되었으나, 환자가 경구 스테로이드 유지 요법을 자의적으로 중단한 후 좌안의 최대교정시력은 0.4로 다시 악화되었다. 환자가 추가적인 전신 스테로이드 치료를 거부하여 테논낭하에 스테로이드를 주사하였으며, 이후 좌안 최대교정시력은 1.0으로 회복되었고 안정적인 경과를 보이고 있다. 결론: 만성 신부전 환자에서 갑작스러운 시력 저하와 시야 장애가 발생한 경우 요독성 시신경병증을 비롯한 여러 시신경병증의 가능성을 염두에 두어야 하며, 요독성 시신경병증으로 판단될 경우 신속한 혈액 투석과 스테로이드의 병행 치료를 통해 시력의 호전을 도모할 수 있다. Purpose: To report a case of uremic optic neuropathy occurring in a patient with chronic renal failure. Case summary: A 40-year-old male who was diagnosed with chronic renal failure and treated with peritoneal dialysis and hemodialysis for 17 years presented with blurred vision and a moving pain in his left eye for 2 days. The best corrected visual acuity (BCVA) was 0.2 in his left eye, and an inferior altitudinal visual field defect was noted on Humphrey perimetry. Fundus examination and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showed optic disc swelling in his left eye; the right eye was unremarkable. These findings were compatible with a diagnosis of uremic optic neuropathy or anterior ischemic optic neuropathy of his left eye. After treatment of hemodialysis and intravenous high dose steroid pulse therapy, the BCVA in his left eye was 0.8. However, since he refused oral steroid maintenance therapy, his BCVA later decreased to 0.4. After treatment with subtenon triamcinolone injection, the BCVA in his left eye was 1.0 and showed a stable disease course. Conclusions: When patient with chronic renal failure presents with acute decrease in visual acuity and visual field defect, optic neuropathies including uremic optic neuropathy should be considered and prompt hemodialysis and systemic steroid treatment should be done. KCI Citation Count: 0
ISSN:0378-6471
2092-93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