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발된 외사시에서 첫 수술 종류에 따른 재수술 후 결과 비교
목적: 재발된 외사시 환자에서 첫 수술 종류에 따라 재수술 후 경과와 수술 성공률이 다른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기본형 또는 거짓눈벌림과다형 간헐외사시로 두 눈 외직근후전술을 받은 후 외사시가 재발하여 한 눈 또는 두 눈에 내직근절제술을 받은 환자군(A군)과 외직근후전-내직근절제술을 받은 후 반대 눈에 외직근후전술 또는 외직근후전-내직근절제술을 받은 환자군(B군)을 대상으로 하였다. 각 수술 시 나이와 외사시각, 수술 후 시기별 수술 결과, 수술한 근육 개수 등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두 군 사이에 수술 시...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Daihan angwa haghoi jabji 2014, 55(5), , pp.726-733 |
---|---|
Hauptverfasser: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목적: 재발된 외사시 환자에서 첫 수술 종류에 따라 재수술 후 경과와 수술 성공률이 다른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기본형 또는 거짓눈벌림과다형 간헐외사시로 두 눈 외직근후전술을 받은 후 외사시가 재발하여 한 눈 또는 두 눈에 내직근절제술을 받은 환자군(A군)과 외직근후전-내직근절제술을 받은 후 반대 눈에 외직근후전술 또는 외직근후전-내직근절제술을 받은 환자군(B군)을 대상으로 하였다. 각 수술 시 나이와 외사시각, 수술 후 시기별 수술 결과, 수술한 근육 개수 등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두 군 사이에 수술 시 나이, 약시 빈도, 재발 및 재수술까지 기간, 재수술 후 성공률, 수술 별 누적성공률에 있어 의미 있는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2번의 수술에 사용한 수평근육 개수는 A군 평균 3.9 ± 0.4, B군 3.4 ± 0.5였다(p=0.001). 재수술 후 정위가될 때까지의 평균 기간은 A군 3.7 ± 6.2, B군 6.5 ± 16.2개월이었다(p=0.047). A군은 재수술 후 1개월까지 내편위가 지속되다가호전된 반면, B군은 1개월까지 내편위가 감소하다가 이후에 다시 증가하였다. 결론: 첫 수술 종류에 따른 재수술 후 성공률은 차이가 없었다. 두 눈 외직근후전술 후 재수술로 내직근절제술을 하는 것은 과교정된후 정위에 이르는 기간이 짧다는 장점이 있고, 외직근후전-내직근절제술을 받고 반대 눈에 재수술을 시행하는 것은 두 눈 외직근후전술 후 2차적으로 내직근절제술을 시행하는 경우에 비하여 수술 받는 근육 개수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것으로나타났다.
Purpose: To investigate and compare the clinical courses and surgical success rates of secondary operations in recurrent exotropiaaccording to the type of first operation for correction of exotropia. Methods: A retrospective chart review was performed for all patients with recurrent exotropia of the basic or pseudodivergenceexcess types. In group A (36 patients), bilateral lateral rectus (LR) recession was performed as the first operation and uni- or bilateralmedial rectus (MR) resection was performed as the second operation. In group B (19 patients), unilateral LR recession-MR resection (R&R) was performed as the first operation and LR recession or R&R in contralateral eye as the second operation.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2 groups when considering age at each operation, frequency of theamblyopia, prescription of prism, time interval for recurrence and reoperation and the final and cumulative success rates. Nopostoperative complications were observed in either group. The mean number of used muscles for the first and second operationwas 3.9 ± 0.4 in group A, and 3.4 ± 0.5 in group B (p = 0.001). Mean time interval for occurrence of postoperative orthophoriawas 3.7 ± 6.2 months in group A and 6.5 ± 16.2 in group B (p = 0.047). In group B, the incidence of esodeviation tendedto increase after postoperative 1 month. Conclusions: The final success rates of reoperation between the 2 types of the first operation in recurrent exotropia were similar. Mean time between postoperative overcorrection of orthophoria was shorter in the group with bilateral LR recession followed bysecondary MR resection than in the other group. Unilateral R&R followed by LR recessi |
---|---|
ISSN: | 0378-6471 2092-937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