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 중심장액맥락망막병증에서 망막외층의 변성 : 빛간섭단층촬영 및 안저자가형광사진 소견

목적: 만성 중심장액맥락망막병증 환자에서 빛간섭단층촬영상 망막외층의 변화와 안저자가형광사진의 자가형광변화의 연관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2014년 1월부터 2015년 3월까지 6개월 이상 경과 관찰한 만성 중심장액맥락망막병증 환자 15명, 17안에서 빛간섭단층촬영과 안저자가형광사진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빛간섭단층촬영에서 관찰되는 망막색소상피층과 시세포 내외절경계부 그리고 망막외층의 형태 변화 영역을 파악하였다. 안저자가형광사진은 Heidelberg Retina Angiogram을 이용하여 황반부 30o 촬영하...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Daihan angwa haghoi jabji 2016, 57(5), , pp.763-771
Hauptverfasser: 오인석(In Seok Oh), 장지혜(Ji Hye Jang)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목적: 만성 중심장액맥락망막병증 환자에서 빛간섭단층촬영상 망막외층의 변화와 안저자가형광사진의 자가형광변화의 연관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2014년 1월부터 2015년 3월까지 6개월 이상 경과 관찰한 만성 중심장액맥락망막병증 환자 15명, 17안에서 빛간섭단층촬영과 안저자가형광사진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빛간섭단층촬영에서 관찰되는 망막색소상피층과 시세포 내외절경계부 그리고 망막외층의 형태 변화 영역을 파악하였다. 안저자가형광사진은 Heidelberg Retina Angiogram을 이용하여 황반부 30o 촬영하였고, 동일안 배경형광과 비교하여 자가형광의 변화를 기술하였다. 두 영상을 지형학적으로 일치시켜 빛간섭단층촬영의 망막외층의 형태 변화와 안저자가형광사진에서 자가형광의 변화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분석하였다. 결과: 빛간섭단층촬영상 망막색소상피박리 부위는 모두 안저자가형광사진에서 자가형광의 변화가 없었고, 망막색소상피의 융기 부위는 7안 중 5안에서 과형광으로 나타났다. 시세포 내외절의 연속성이 끊어지거나 반사도 변화가 관찰되는 부위는 모두 안저자가형광사진에서 과형광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속된 장액망막박리가 관찰되는 9안 중 7안은 안저자가형광사진에서 망막하액 경계부위를 따라 특징적인 고리 형태의 자가형광 변화를 보였고, 그중 시세포 외절의 연장이 관찰된 5안에서는 고리모양의 과형광 안에 알갱이 형태의 과형광이 불규칙하게 관찰되었다. 결론: 만성 중심장액맥락망막병증에서 망막색소상피의 융기가 있는 부위, 시세포 내외절의 연속성이 깨지거나 시세포 외절의 연장이있는 부위, 장액망막박리 경계부위에 자가형광신호의 증가가 관찰됨을 통해, 자가형광 증가를 보이는 망막 부위는 망막색소상피층과망막외층의 손상 영역과 깊은 연관이 있음을 알 수 있다. Purpose: To document alteration of the outer retinal layers and fundus autofluorescence (FAF) change in eyes with chronic central serous chorioretinopathy (CSCR). Methods: Seventeen eyes of fifteen patients diagnosed with chronic CSCR from January 2014 to March 2015 with at least 6 months of follow-up and no history of surgery were enrolled in this study. Morphologic alterations in the retinal pigment epithelium (RPE), the photoreceptor inner segment/outer segment (IS/OS) junction layer, and the outer retina were evaluated by Spectral domai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SD-OCT). The FAF images were obtained via Heidelberg Retina Angiogram using a view mode of 30° and were described using distribution patterns of retinal autofluorescence compared to background autofluorescence. After tomographic alignment of the FAF intensities with the OCT findings, we analyzed and assessed the alteration of the outer retinal layers and the characteristics of retinal autofluorescence. Results: RPE detachment lesions in SD-OCT showed little or no change in autofluorescence pattern. Five of seven eyes with RPE humps in SD-OCT showed hyper-fluorescence in FAF. All of the eyes with defects or changes of the reflective line representing the IS/OS junction in SD-OCT correlated with hyper-fluorescence in FAF. Seven of nine eyes with persistent subretinal detachment (SRD) showed specific ring-shaped hyper-fluorescence in FAF matching up with the border of the SRD, and five eyes with photoreceptor OS elongation within SRD showed a granular type of hyper-fluorescence within the ring-shaped hyper- fluorescence in FAF
ISSN:0378-6471
2092-93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