빛간섭단층촬영기로 측정한 국소지점별 망막두께 정상치를 활용한 녹내장성 시야감도저하 진단능력

목적: 최근 SD-OCT는 황반부의 64개 지점에서 전층 망막두께를 측정할 수 있게 되었다. 이를 이용해, SD-OCT로 측정한 국소지점별망막두께 측정치를 활용하여 자동시야검사의 녹내장성 시야감도저하의 진단능력을 평가해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정상 피험자 30명과 개방각녹내장 환자 3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후극부 망막 8x8 측정지점의 인접한 4개 사각형의 망막두께 평균값을 계산하였다. 녹내장군의 망막두께측정치의 비정상 판별을 위한 진단기준은 본 연구의 대조군을 이용하여 측정한 정상망막두께를 정상데이터베이스로 활용하여 국소지점...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Daihan angwa haghoi jabji 2014, 55(6), , pp.860-867
Hauptverfasser: 배은진, 김경래, 유영철,Eun Jin Bae, MD, Kyoung Lae Kim, MD, Young Cheol Yoo, MD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목적: 최근 SD-OCT는 황반부의 64개 지점에서 전층 망막두께를 측정할 수 있게 되었다. 이를 이용해, SD-OCT로 측정한 국소지점별망막두께 측정치를 활용하여 자동시야검사의 녹내장성 시야감도저하의 진단능력을 평가해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정상 피험자 30명과 개방각녹내장 환자 3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후극부 망막 8x8 측정지점의 인접한 4개 사각형의 망막두께 평균값을 계산하였다. 녹내장군의 망막두께측정치의 비정상 판별을 위한 진단기준은 본 연구의 대조군을 이용하여 측정한 정상망막두께를 정상데이터베이스로 활용하여 국소지점별 망막두께측정치의 하위 5% (진단기준 A) 및 1% (진단기준 B)로 설정하였다. 각 진단기준을 이용한 국소지점별 망막두께측정치의 이상여부를 대응하는 위치의 자동시야검사 결과의 비정상 여부와 비교하였다. 결과: 16개 측정지점에서 계산한 시야감도와 평균 망막두께의 비정상 판정결과의 일치도는 진단기준 A (카파값, -0.418~0.429)와B (카파값, -0.363~0.444) 모두 낮았다. 각 국소지점에서의 자동시야검사 결과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 두 가지 진단기준을 이용한평균 망막두께 측정치의 민감도와 특이도는 0.0%에서 100%로 다양한 범위를 보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 SD-OCT를 이용하여 측정한 전층 망막두께측정치는 정상인의 측정치를 활용한 임의 진단기준을 적용하였을 때대응하는 국소지점의 녹내장성 시야감도 저하를 발견하는 데 상대적으로 낮은 일치도와 진단력을 보여주었다. Purpose: Recently, the introduction of spectral-domai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SD-OCT) has enabled measurement ofretinal thickness in the posterior pole in 64 sectors. SD-OCT was used to evaluate the diagnostic effectiveness in detecting glaucomatousabnormality of visual field sensitivity. A normal value for retinal thickness was determined and then compared in correspondinglocal sectors. Methods: Thirty healthy controls and 30 glaucoma subjects were evaluated. Macular thickness values from the 4 adjacentsquare cells in an 8 x 8 posterior pole retinal thickness map were averaged for a mean retinal thickness (MRT) value. A normativedatabase was prepared using the data from the healthy eyes of this study to determine the diagnostic criteria for MRT. If theMRT value was
ISSN:0378-6471
2092-93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