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상에서 관찰할 수 있는 각막 철선

목적: 각막 철선의 다양한 임상 양상을 보고함으로써, 각막 철선의 발생 기전과 의미를 밝히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11년 4월부터 2014년 3월까지 충남대학교병원 안과에 내원한 환자 중 각막 철선을 확인한 39명 45안을 대상으로 하였다. 진단과 동시에 전안부 사진을 촬영하였으며, 각막 표면의 곡률과 각막 철선 위치의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해 동반된 각막 지형도검사를 시행하고 환자의 병력을 조사하였다. 결과: 헤르페스 기질 각막염, 각막궤양 등 다양한 각막 질환에서 각막 철선을 확인하였다. 환자들의 평균 나이는 57.8세였다...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Daihan angwa haghoi jabji 2016, 57(6), , pp.881-890
Hauptverfasser: 강태신(Tae Seen Kang), 이종주(Jong Joo Lee), 최시환(Si Hwan Choi)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목적: 각막 철선의 다양한 임상 양상을 보고함으로써, 각막 철선의 발생 기전과 의미를 밝히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11년 4월부터 2014년 3월까지 충남대학교병원 안과에 내원한 환자 중 각막 철선을 확인한 39명 45안을 대상으로 하였다. 진단과 동시에 전안부 사진을 촬영하였으며, 각막 표면의 곡률과 각막 철선 위치의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해 동반된 각막 지형도검사를 시행하고 환자의 병력을 조사하였다. 결과: 헤르페스 기질 각막염, 각막궤양 등 다양한 각막 질환에서 각막 철선을 확인하였다. 환자들의 평균 나이는 57.8세였다. 12명에서 각막 지형도 검사를 시행하였고 75%에서 각막 표면 곡률과 각막 철선의 위치가 연관이 있었다. 조사 기간 중 2안에서 각막 질환이 진행하며 동반된 각막 철선이 뚜렷해졌으나, 새로이 발견되거나 위치가 변화하지는 않았다. 각막 철선은 시력 및 안증상과 연관되어 있지 않았으며, 모양은 동반된 각막 질환에 따라 다양하였다. 눈물이 반복적으로 고이는 위치는 각막 표면 형태와 연관 있었으며, 각막 철선은 각막이 함몰된 부위 또는 융기된 부위 주변에 형성되었다. 결론: 각막 철선의 발생 위치 및 모양을 통하여, 각막 철선이 과거 및 현재의 각막 표면 요철과 연관되어 발생함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눈물 고임 가설이 타당함을 확인하였다. 이는 임상에서 각막 철선을 발견할 때 진단 및 치료 계획 수립에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 Purpose: To unveil the etiology, pathogenic mechanism and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the corneal iron line through various clinical aspects of the corneal iron line. Methods: This study included 45 eyes of 39 patients who visited the Department of Ophthalmology i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between April 2011 and March 2014. Anterior segment of the eye was photographed during the diagnostic process. The medical history of the patient was investigated and corneal topography was performed to discov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sition of the corneal iron line and the curvature of the corneal surface. Results: The corneal iron line was identified in various corneal diseases such as herpetic stromal keratitis and; corneal ulcer. The average age of patients was 57.8 years. Corneal topography was performed in 12 patients and a connection was found between the curvature of the corneal surface and the position of corneal iron line at 75%. During the research period, corneal disease progressed and associated corneal iron line became clearer in 2 eyes. However, there was no repositioning or new appearance in different areas. The corneal iron line was not associated with visual acuity and the shape varied in accordance with the accompanying corneal disorder. The location where the tears repeatedly accumulate was associated with corneal surface irregularity, and the corneal iron line was confirmed where the cornea was depressed or around the uplifted surface. Conclusions: Based on the occurrence location and the shape of the corneal iron line, we could understand that the occurrence of corneal iron line is associated with the past and current corneal surface irregularities, which verified the validity of the tear pooling hypothesis. Therefore, this re
ISSN:0378-6471
2092-93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