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실로마이세스 각막염: 국내 증례 보고 및 해외 문헌 고찰
목적: 패실로마이세스 각막염으로 확진된 본원 및 국내 사례를 종합하여 알아보고, 이를 외국에서 보고된 증례와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본원 안과를 방문하여 패실로마이세스가 검출된 환자 3예와 국내에 보고된 증례를 종합하여 각막염 발생의 위험인자, 초기 임상양상, 수술적 처치 여부, 치료 후 시력에 대해 알아보고, 이를 외국에서 발표된 패실로마이세스 각막염 환자의 논문들을 정리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국내 사례 중 자연적으로 발생한 1예의 여성을 제외하고 모두 남성이었으며 외상, 수술과 같은 위험인자가 있었다. 5예 모두...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Daihan angwa haghoi jabji 2016, 57(3), , pp.390-398 |
---|---|
Hauptverfasser: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목적: 패실로마이세스 각막염으로 확진된 본원 및 국내 사례를 종합하여 알아보고, 이를 외국에서 보고된 증례와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본원 안과를 방문하여 패실로마이세스가 검출된 환자 3예와 국내에 보고된 증례를 종합하여 각막염 발생의 위험인자, 초기 임상양상, 수술적 처치 여부, 치료 후 시력에 대해 알아보고, 이를 외국에서 발표된 패실로마이세스 각막염 환자의 논문들을 정리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국내 사례 중 자연적으로 발생한 1예의 여성을 제외하고 모두 남성이었으며 외상, 수술과 같은 위험인자가 있었다. 5예 모두 초기시력이 손가락세기 이하였으며 각막의 중심부위에 깊게 침범된 소견을 보였다. 전방 내 및 각막기질 내 보리코나졸 주사 등의 약물치료 외에도 안구내용제거술, 각막이식술을 시행 받았으며 1예는 안구위축 상태가 되는 등 시력이 불량한 경우가 많았다. 외국 사례들도 과거 안수술, 외상, 콘택트렌즈 착용과 같은 위험인자가 존재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약물치료에 호전되지 않아 각막이식술과 같은 수술적 처치가 필요한 경우가 많았고, 최종 시력이 낮다는 점에서 국내와 비슷한 임상양상을 보였다.
결론: 패실로마이세스 각막염은 국내외에서 모두 직접적인 위험인자를 갖는 경우가 많고, 심한 임상 경과를 보이며 기존의 약물치료에 잘 호전되지 않고, 수술적 처치가 필요한 경우가 많았다. 패실로마이세스 각막염이 의심되는 경우에는 처음부터 전방내주사, 안내주사와 같은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Purpose: To analyze the Paecilomyces keratitis cases in Korea and compare cases from foreign literature.
Methods: The records of 3 patients diagnosed with Paecilomyces keratitis at our hospital and other reported cases in Korea were evaluated to examine the predisposing factors, clinical aspects, antifungal therapy, therapeutic surgery, and visual outcome and compared with previously reported foreign cases.
Results: In Korea, 1 patient was female, 4 patients were male and had predisposing factors including prior corneal trauma or surgery, except 1 spontaneous occurrence. All 5 eyes of 5 patients had poor initial visual acuity, less than finger count, and deep corneal infiltration. The patients were treated with multiple topical and systemic antifungal treatments such as intracameral or intrastromal voriconazole injections and required evisceration and penetrating keratoplasty. However, the final outcomes were unsatisfactory. Previously reported cases from foreign literature also had predisposing factors such as corneal surgery, trauma, and soft contact lens use. They were resistant to antifungal therapy and eventually led to surgeries such as penetrating keratoplasty and the final outcomes were poor.
Conclusions: Frequently, Paecilomyces keratitis has direct risk factors and is resistant to many topical and systemic antifungal agents. In the majority of cases, therapeutic surgery was required and the final visual outcomes were poor. When Paecilomyces keratitis is suspected, we suggest aggressive therapy including intracameral and intravitreal injections of voriconazole in the initial treatment. KCI Citation Count: 3 |
---|---|
ISSN: | 0378-6471 2092-937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