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수정체안에서 자동각막굴절계와 이중샤임플러그에 의한 난시의 상관관계 분석
목적: 자동각막굴절계와 이중샤임플러그 전안부 촬영기(Galilei G4®)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각막난시 수치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위수정체안에서 굴절난시와 일치도가 높은 수치에 대해 알아보았다. 대상과 방법: 백내장 수술을 받고 한 달 이상 경과된 75명 100안을 대상으로 굴절난시, 각막난시를 자동각막굴절계(ARK-530A®), 이중샤임플러그 전안부 촬영기(Galilei G4®)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자동각막굴절계의 굴절난시(automated refractive astigmatism), 각막난시(automated keratome...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Daihan angwa haghoi jabji 2016, 57(3), , pp.361-368 |
---|---|
Hauptverfasser: |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목적: 자동각막굴절계와 이중샤임플러그 전안부 촬영기(Galilei G4®)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각막난시 수치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위수정체안에서 굴절난시와 일치도가 높은 수치에 대해 알아보았다.
대상과 방법: 백내장 수술을 받고 한 달 이상 경과된 75명 100안을 대상으로 굴절난시, 각막난시를 자동각막굴절계(ARK-530A®), 이중샤임플러그 전안부 촬영기(Galilei G4®)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자동각막굴절계의 굴절난시(automated refractive astigmatism), 각막난시(automated keratometric astigmatism)와 Galilei G4®에서 측정된 total corneal power (TCP), simulated K (Sim K)를 구하였으며, Jacksons cross cylinder를 이용하여 vector 분석을 시행하였다. 통계 분석은 Spearman rank correlation으로 선형상관관계 분석을 하였고, Bland-Altman plot으로 검사 간 일치도를 분석하였다.
결과: 자동각막굴절계의 굴절난시의 평균은 -1.11 ± 1.44D, 각막난시는 -0.77 ± 1.06D였고, Galilei G4®의 각막난시는 Sim K에서는 -0.93 ± 1.02D, TCP는 -1.11 ± 1.48D였다. Vector 분석에서는 자동각막굴절계의 굴절난시와 각막난시, Galilei G4®의 Sim K, TCP 모두 유의한 선형상관관계를 보였다. Bland-Altman graph에서 난시축과 난시값의 굴절난시와의 차이의 평균과 표준편차가 TCP에서 가장 작았다.
결론: 위수정체안에서 Galilei G4®의 난시 측정값 중 굴절난시를 ray tracing을 통해 측정한 각막난시가 굴절난시를 가장 잘 나타낸다. 이 지표는 위수정체안에서의 굴절 난시를 설명하고 백내장 수술 후 각막난시를 평가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fractive astigmatism by automated refractometry and the corneal astigmatism by a dual Scheimpflug analyzer in pseudophakic eyes.
Methods: Prospectively, 75 patients (100 eyes) were enrolled in the present study. Refractive astigmatism was obtained by automated refraction. Corneal astigmatism was obtained using automated keratometry (ARK-530A®) and dual Scheimpflug scanning analysis (Galilei G4®). All refractive values were converted to the power vector components J0 and J45 for comparison and regression analysis of refractive versus corneal astigmatism. Bland-Altman plots were created to estimate the agreement between measurements.
Results: The average astigmatism from each measurement was -1.11 ± 1.44 D (refractive astigmatism from automated refraction), -0.77 ± 1.06 D (corneal astigmatism from automated keratometry), -0.93 ± 1.02 D (simulated K from Galilei G4®), and -1.11 ± 1.48 D (total corneal power from Galilei G4®). Refractive J0 and keratometric J0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r = 0.557, p ≤ 0.001), as well as the corresponding J45 values (r = 0.655, p = 0.025). Refractive astigmatism and total corneal power components were also significantly correlated (J0: r = 0.618, p ≤ 0.001; J45: r = 0.608, p = 0.04). In the Bland-Altman plots, keratometric J0 and total corneal power J0 showed the best agreement.
Conclusions: The accuracy of measurements for corneal refraction and astigmatism in pseudophakic eyes is higher using the dual Scheimpflug analyzer, especially for total |
---|---|
ISSN: | 0378-6471 2092-937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