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발급성폐쇄각발작에서 스펙트럼 빛간섭단층촬영을 이용한 황반부신경절세포-내망상층의 두께변화

목적: 일측성 급성폐쇄각발작의 기왕력이 있는 환자에서 스펙트럼 빛간섭단층촬영을 이용하여 기왕력이 있는 눈과 반대편 눈의 황반부 신경절세포-내망상층의 두께를 정량적으로 평가하여 비교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처음으로 일측성 급성폐쇄각발작을 경험한 환자 24명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발작 후 8주째 스펙트럼 빛간섭단층촬영기로 기왕력이 있는 눈(1군)과 반대편 눈(2군)의 황반부 신경절세포-내망상층 두께 및 시신경유두주위 망막신경섬유층의두께를 구하여 비교분석하였다. 결과: 1군과 2군에서 최대교정시력, 구면렌즈대응치,...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Daihan angwa haghoi jabji 2014, 55(8), , pp.1167-1173
Hauptverfasser: 이효석, 박용석, 박상우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목적: 일측성 급성폐쇄각발작의 기왕력이 있는 환자에서 스펙트럼 빛간섭단층촬영을 이용하여 기왕력이 있는 눈과 반대편 눈의 황반부 신경절세포-내망상층의 두께를 정량적으로 평가하여 비교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처음으로 일측성 급성폐쇄각발작을 경험한 환자 24명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발작 후 8주째 스펙트럼 빛간섭단층촬영기로 기왕력이 있는 눈(1군)과 반대편 눈(2군)의 황반부 신경절세포-내망상층 두께 및 시신경유두주위 망막신경섬유층의두께를 구하여 비교분석하였다. 결과: 1군과 2군에서 최대교정시력, 구면렌즈대응치, 중심각막두께 및 안축장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신경절세포-내망상층의 상이측, 상측, 상비측은 1군과 2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두께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p>0.05), 평균 및하비측, 하측, 하이측의 두께는 1군에서 2군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각 p=0.002, p=0.002, p=0.001, p=0.001). 1군과 2군의 평균 신경절세포-내망상층 두께의 차이값은 발작기간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correlation coefficient=0.249,p=0.019). 결론: 급성폐쇄각발작 시 안압을 빨리 하강시키는 것이 황반부 신경절세포-내망상층의 감소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하며,급성폐쇄각발작 후 경과관찰 시 스펙트럼영역 빛간섭단층촬영을 이용한 황반부 신경절세포-내망상층의 두께 측정이 유용하게 쓰일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measure macular ganglion cell-inner plexiform layer (mGC-IPL) thickness in patients witha history of unilateral single attack of acute primary angle closure (APAC) and to compare it with that of unaffected fellow eyes8 weeks after resolution using spectrum domai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SD-OCT). Methods: Medical records of 24 patients with history of first episode of unilateral APAC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Eightweeks after APAC, mGC-IPL thickness and peripapillary retinal nerve fiber layer thickness were measured with SD-OCT and analyzedin eyes affected by APAC (group 1) and fellow eyes (group 2).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with regard to best corrected visual acuity, spherical equivalent,central corneal thickness, or axial length (p > 0.05).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mGC-IPL thickness in the superotemporal,superior, or superonasal sectors (p > 0.05). However, average, inferonasal, inferior, and inferotemporal sectors ofgroup 1 were significantly thinner than those of group 2 (p = 0.002, 0.002, 0.001, 0.001, respectively). In addition, averagemGC-IPL difference between affected eyes and fellow eye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ttack duration(correlation coefficient = 0.249, p = 0.019). Conclusions: Normalization of elevated intraocular pressure as soon as possible after APAC onset is recommended in order toreduce mGC-IPL loss, and measurements of mGC-IPL thickness can be helpful for follow-up of APAC patients. KCI Citation Count: 1
ISSN:0378-6471
2092-93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