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편위 환자에서 3D TV 시청이 사시각 및 굴절이상에 미치는 영향

목적: 외편위 환자에서 3D TV 시청이 사시각 및 굴절이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외편위가 있는 6-12세의 환아 23명을 모집하여, 50분간 3D TV를 시청하도록 하였다. 시청 거리는 2.8미터였으며, 3D영상의 영상변이는 -1~1도였다. 시청 전과 시청 직후, 그리고 10분간 휴식을 취한 후에 원거리 사시각 및 굴절이상을 측정하여 변화를 분석하였다. 결과: 대상 환아의 평균 연령은 9.30 ± 1.58세였다. 시청 전 외편위각은 13.04 ± 5.25 (6-30) 프리즘디옵터(PD)였고, 시청 직후...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Daihan angwa haghoi jabji 2014, 55(10), , pp.1525-1529
Hauptverfasser: 서혜진, Hye Jin Seo, 김승현, Seung Hyun Kim, 서영우, Young Woo Suh, 최용민, Yong Min Choi, 유은주, Eun Joo Yoo, 한지윤, Ji Yun Han, 남기태, Ki Tae Nam, 조윤애, Yoon Ae Cho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목적: 외편위 환자에서 3D TV 시청이 사시각 및 굴절이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외편위가 있는 6-12세의 환아 23명을 모집하여, 50분간 3D TV를 시청하도록 하였다. 시청 거리는 2.8미터였으며, 3D영상의 영상변이는 -1~1도였다. 시청 전과 시청 직후, 그리고 10분간 휴식을 취한 후에 원거리 사시각 및 굴절이상을 측정하여 변화를 분석하였다. 결과: 대상 환아의 평균 연령은 9.30 ± 1.58세였다. 시청 전 외편위각은 13.04 ± 5.25 (6-30) 프리즘디옵터(PD)였고, 시청 직후는12.96 ± 5.11 (4-30) PD, 시청 10분 후는 12.61 ± 5.37 (4-30) PD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452). 시청 전우안과 좌안의 굴절이상은 각각 -2.15 ± 1.55, -2.06 ± 1.55디옵터(D)였고 시청 직후는 각각 -2.14 ± 1.57D, -2.11 ± 1.45D, 시청10분 후는 각각 -2.14 ± 1.53D, -2.07 ± 1.53D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각 p=0.991, 0.495). 3D TV 시청 전과 비교하여시청 직후 양안의 근시 증가량은 외편위각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나(r=0.468, p=0.024), 10분 휴식 후에는 상관관계를 보이지않았다(r=0.345, p=0.107). 결론: 외편위 환자에서 3D TV 시청은 사시각과 굴절이상에 유의한 영향을 보이지 않았다. 외편위각이 클수록 3D TV 시청 후 일시적인 근시 증가가 나타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Purpos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watching three-dimensional (3D) television (TV) on the angle of deviation and refractive errorin children with exodeviation. Methods: Twenty-three volunteers with exodeviation, aged 6 to 12 years, without any ocular abnormalities other than refractiveerror and exodeviation were recruited for this study. The subjects watched 3D TV for 50 minutes at a viewing distance of 2.8meters. The image disparity of 3D contents was -1 to 1 degree. Refractive errors were measured before and immediately afterwatching TV and after a 10-minute rest. The changes in angle of deviation were also obtained. Refractive errors and angle of deviationbefore and after watching 3D TV were compared. Results: The mean age of the subjects was 9.30 ± 1.58 years. The mean baseline angle of deviation was 13.04 ± 5.25 (6-30)prism diopters (PD), which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immediately after watching 3D TV and after a 10-minute rest (p = 0.452). The mean refractive errors were -2.15 ± 1.55 D in the right eye and -2.06 ± 1.55 D in the left eye before and changed to -2.14 ±1.57 D and -2.11 ± 1.45 D, respectively, immediately after watching 3D TV. After a 10 minute rest, the mean refractive errorswere 2.14 ± 1.53 D in the right eye and -2.07 ± 1.53 D in the left eye. All changes in refractive error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p = 0.991 in right eye, 0.495 in left eye). The amount of myopic shift in both eyes immediately after watching 3D TV wascorrelated with the angle of exodeviation (r = 0.468, p = 0.024). However, the correlation disappeared after a 10-minute rest (r =0.345, p = 0.107). Conclusions: Watching properly made 3D contents on 3D TV for 50
ISSN:0378-6471
2092-93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