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편위 환자에서 3D TV 시청이 사시각 및 굴절이상에 미치는 영향
목적: 외편위 환자에서 3D TV 시청이 사시각 및 굴절이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외편위가 있는 6-12세의 환아 23명을 모집하여, 50분간 3D TV를 시청하도록 하였다. 시청 거리는 2.8미터였으며, 3D영상의 영상변이는 -1~1도였다. 시청 전과 시청 직후, 그리고 10분간 휴식을 취한 후에 원거리 사시각 및 굴절이상을 측정하여 변화를 분석하였다. 결과: 대상 환아의 평균 연령은 9.30 ± 1.58세였다. 시청 전 외편위각은 13.04 ± 5.25 (6-30) 프리즘디옵터(PD)였고, 시청 직후...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Daihan angwa haghoi jabji 2014, 55(10), , pp.1525-1529 |
---|---|
Hauptverfasser: | , , , , , , , , , , ,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목적: 외편위 환자에서 3D TV 시청이 사시각 및 굴절이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외편위가 있는 6-12세의 환아 23명을 모집하여, 50분간 3D TV를 시청하도록 하였다. 시청 거리는 2.8미터였으며, 3D영상의 영상변이는 -1~1도였다. 시청 전과 시청 직후, 그리고 10분간 휴식을 취한 후에 원거리 사시각 및 굴절이상을 측정하여 변화를 분석하였다. 결과: 대상 환아의 평균 연령은 9.30 ± 1.58세였다. 시청 전 외편위각은 13.04 ± 5.25 (6-30) 프리즘디옵터(PD)였고, 시청 직후는12.96 ± 5.11 (4-30) PD, 시청 10분 후는 12.61 ± 5.37 (4-30) PD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452). 시청 전우안과 좌안의 굴절이상은 각각 -2.15 ± 1.55, -2.06 ± 1.55디옵터(D)였고 시청 직후는 각각 -2.14 ± 1.57D, -2.11 ± 1.45D, 시청10분 후는 각각 -2.14 ± 1.53D, -2.07 ± 1.53D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각 p=0.991, 0.495). 3D TV 시청 전과 비교하여시청 직후 양안의 근시 증가량은 외편위각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나(r=0.468, p=0.024), 10분 휴식 후에는 상관관계를 보이지않았다(r=0.345, p=0.107). 결론: 외편위 환자에서 3D TV 시청은 사시각과 굴절이상에 유의한 영향을 보이지 않았다. 외편위각이 클수록 3D TV 시청 후 일시적인 근시 증가가 나타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Purpos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watching three-dimensional (3D) television (TV) on the angle of deviation and refractive errorin children with exodeviation. Methods: Twenty-three volunteers with exodeviation, aged 6 to 12 years, without any ocular abnormalities other than refractiveerror and exodeviation were recruited for this study. The subjects watched 3D TV for 50 minutes at a viewing distance of 2.8meters. The image disparity of 3D contents was -1 to 1 degree. Refractive errors were measured before and immediately afterwatching TV and after a 10-minute rest. The changes in angle of deviation were also obtained. Refractive errors and angle of deviationbefore and after watching 3D TV were compared. Results: The mean age of the subjects was 9.30 ± 1.58 years. The mean baseline angle of deviation was 13.04 ± 5.25 (6-30)prism diopters (PD), which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immediately after watching 3D TV and after a 10-minute rest (p = 0.452). The mean refractive errors were -2.15 ± 1.55 D in the right eye and -2.06 ± 1.55 D in the left eye before and changed to -2.14 ±1.57 D and -2.11 ± 1.45 D, respectively, immediately after watching 3D TV. After a 10 minute rest, the mean refractive errorswere 2.14 ± 1.53 D in the right eye and -2.07 ± 1.53 D in the left eye. All changes in refractive error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p = 0.991 in right eye, 0.495 in left eye). The amount of myopic shift in both eyes immediately after watching 3D TV wascorrelated with the angle of exodeviation (r = 0.468, p = 0.024). However, the correlation disappeared after a 10-minute rest (r =0.345, p = 0.107). Conclusions: Watching properly made 3D contents on 3D TV for 50 |
---|---|
ISSN: | 0378-6471 2092-937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