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레르기결막염 환자에서 눈물 호산구양이온단백질 측정
목적: 알레르기결막염 환자의 눈물에서 호산구양이온단백질(eosinophil cationic protein, ECP)의 농도를 측정하여 눈에서 호산구 활동성을 알아보고, ECP 농도와 알레르기결막염 활동성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아토피각결막염군 7안, 계절/통년알레르기결막염군 13안 및 정상 대조군 10안의 눈물의 ECP 농도를 화학발광 면역계측분석으로 측정하였다. 결막의 유두형성과 충혈 정도에 따라 경한 그룹과 심한 그룹으로 나누어 눈물의 ECP 농도를 비교하였다. 결과: 아토피각결막염군의 눈물 ECP 농도는...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Daihan angwa haghoi jabji 2014, 55(9), , pp.1291-1297 |
---|---|
Hauptverfasser: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목적: 알레르기결막염 환자의 눈물에서 호산구양이온단백질(eosinophil cationic protein, ECP)의 농도를 측정하여 눈에서 호산구 활동성을 알아보고, ECP 농도와 알레르기결막염 활동성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아토피각결막염군 7안, 계절/통년알레르기결막염군 13안 및 정상 대조군 10안의 눈물의 ECP 농도를 화학발광 면역계측분석으로 측정하였다. 결막의 유두형성과 충혈 정도에 따라 경한 그룹과 심한 그룹으로 나누어 눈물의 ECP 농도를 비교하였다. 결과: 아토피각결막염군의 눈물 ECP 농도는 계절/통년알레르기결막염군 및 정상 대조군과 각각 비교 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결과를 보였다(p=0.012, p=0.003). 또한 계절/통년알레르기결막염의 눈물 ECP 농도 역시 정상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p=0.042). 아토피각결막염군에서는 모든 환자가 유두반응 2-3군에 해당하였고, 결막충혈 2-3군의 눈물 ECP 농도가 결막충혈 0-1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0.001). 계절/통년알레르기결막염군에서는 유두반응 2-3군의 눈물 ECP 농도가 유두반응 0-1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0.046). 결론: 아토피각결막염뿐만 아니라 계절/통년알레르기결막염군에서도 눈물의 ECP가 진단 및 질병의 중증도를 판단하는 데 유용한 지표가 될 수 있다. 또한 알레르기결막염 치료 효과를 평가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To evaluate tear eosinophil cationic protein (ECP) as a severity marker for atopic keratoconjunctivitis (AKC) and seasonal/perennial allergic conjunctivitis (SAC/PAC). Methods: Tear ECP levels were measured by chemiluminescent immunometric assay in 7 eyes of 7 patients with AKC, 13 eyes of 13 patients with SAC/PAC, and 10 eyes of 10 healthy control subjects. All AKC and SAC/PAC patients underwent conjunctival injection and papillary formation grading. Tear ECP levels were investigated with reference to the clinical parameters of allergic conjunctivitis (papillary formation and conjunctival injection scoring). Results: Tear ECP levels in patients with AKC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patients with SAC/PAC and in control subjects (p = 0.012 and p = 0.003, respectively). The number of patients with papillary formation scores of 2-3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AKC group than in the SAC/PAC group (p = 0.016). The number of patients with conjunctival injection scores of 2-3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between the AKC and SAC/PAC groups (p = 0.128). All AKC patients obtained papillary formation scores of 2-3, and tear ECP levels in patients with conjunctival injection scores of 2-3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patients with scores of 0-1 in the AKC group (p < 0.001). In the SAC/PAC group, tear ECP levels in patients with papillary formation scores of 2-3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patients with scores of 0-1 (p = 0.046).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tear ECP was a useful marker to diagnose and assess the severity of disease in patients with AKC as well as SAC/PAC. It would be useful to monitor therapeutic outcome in allergic conjunctivitis. J Korean Ophthalmol Soc 2014; |
---|---|
ISSN: | 0378-6471 2092-937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