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층황반원공에서 유리체절제술 시 가스충전술의 효과

목적: 표층황반원공에서 유리체절제술 시 가스충전술의 치료 효과에 대해 알아보았다. 대상과 방법: 시력 저하 및 변형시를 호소하는 표층황반원공으로 유리체절제술, 망막전막제거술 및 내경계막제거술을 시행 받은 18명18안을 대상으로 하였다. 그 중 8안은 유리체강내 가스충전술을 시행하였으며, 10안은 시행하지 않았다. 가스충전술 유무에 따라 두군으로 나누어 최대교정시력 및 빛간섭단층촬영 소견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대상안 모두에서 망막전막이 관찰되었고, 가스충전술을 시행한 경우 수술 전, 후 평균 시력이 logMAR 0.50 ±...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Daihan angwa haghoi jabji 2015, 56(9), , pp.1371-1376
Hauptverfasser: 이승희, 김시동, 김윤영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목적: 표층황반원공에서 유리체절제술 시 가스충전술의 치료 효과에 대해 알아보았다. 대상과 방법: 시력 저하 및 변형시를 호소하는 표층황반원공으로 유리체절제술, 망막전막제거술 및 내경계막제거술을 시행 받은 18명18안을 대상으로 하였다. 그 중 8안은 유리체강내 가스충전술을 시행하였으며, 10안은 시행하지 않았다. 가스충전술 유무에 따라 두군으로 나누어 최대교정시력 및 빛간섭단층촬영 소견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대상안 모두에서 망막전막이 관찰되었고, 가스충전술을 시행한 경우 수술 전, 후 평균 시력이 logMAR 0.50 ± 0.24에서 logMAR 0.25 ± 0.14로 호전되었고(p=0.041), 가스충전술을 시행하지 않은 경우에도 logMAR 0.53 ± 0.36에서 logMAR 0.32 ± 0.28로 호전되었으며(p=0.041), 두 군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584). 술 후 표층황반원공의 폐쇄나 정상적인 중심와 구조를 보이는경우는 각각 8안 중 6안(75%), 10안 중 7안(70%)으로 두 군 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1.00). 결론: 표층황반원공에서 유리체절제술 시 가스충전술은 술 후 구조적 및 기능적인 회복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Purpose: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as tamponade with vitrectomy for lamellar macular hole. Methods: This study included 18 eyes of 18 patients with lamellar macular hole who reported visual acuity loss or distorted vision. All patients underwent vitrectomy, epiretinal membrane removal and internal limiting membrane peeling. Intravitreal gas tamponade was performed only in 8 eyes of 8 patients.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2 groups: 8 eyes in the gas tamponade with vitrectomy group and 10 eyes that did not receive gas tamponade in the control group. The best-corrected visual acuity (BCVA) and appearance based o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OCT) were obtained retrospectively. Results: Epiretinal membranes were observed in all cases. Average visual acuity of the gas tamponade group improved from log MAR 0.50 ± 0.24 to log MAR 0.25 ± 0.14 (p = 0.041). In the control group, average visual acuity improved from log MAR 0.53 ± 0.36 to log MAR 0.32 ± 0.28 (p = 0.041),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visual acuity between the 2 groups (p = 0.584). Anatomical closure or normalized foveal contour after surgery was confirmed in 6 of 8 eyes in the gas tamponade group and in 7 of 10 eyes in the control group.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2 groups was observed (p = 1.00). Conclusions: Gas tamponade combined with vitrectomy for lamellar macular hole did not affect postoperative anatomical and functional recovery. KCI Citation Count: 0
ISSN:0378-6471
2092-93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