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 전 눈물길 더듬자 검사에서 저항을 보이는 위치에 따른 실리콘관 삽입술의 치료 효과

목적: 코눈물관 폐쇄 환자를 대상으로 술 전에 눈물길 더듬자 검사를 시행했을 때 저항이 있는 부위에 따른 실리콘관 삽입술의 치료효과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높은 눈물띠 높이와 눈물소관 관류술을 통해 역류를 보이는 코눈물관 폐쇄가 의심되는 환자 72명 102안을 대상으로눈물길 더듬자 검사를 시행했을 때 코눈물관의 근위부에만 저항이 있는 군(Group I), 원위부에만 저항이 있는 군(Group II), 근위부, 원위부 모두 저항이 있는 군(Group III)으로 분류하여 각 군별 실리콘관 삽입술의 치료 효과를 비교...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Daihan angwa haghoi jabji 2015, 56(7), , pp.975-979
Hauptverfasser: 양찬민, 박인기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목적: 코눈물관 폐쇄 환자를 대상으로 술 전에 눈물길 더듬자 검사를 시행했을 때 저항이 있는 부위에 따른 실리콘관 삽입술의 치료효과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높은 눈물띠 높이와 눈물소관 관류술을 통해 역류를 보이는 코눈물관 폐쇄가 의심되는 환자 72명 102안을 대상으로눈물길 더듬자 검사를 시행했을 때 코눈물관의 근위부에만 저항이 있는 군(Group I), 원위부에만 저항이 있는 군(Group II), 근위부, 원위부 모두 저항이 있는 군(Group III)으로 분류하여 각 군별 실리콘관 삽입술의 치료 효과를 비교하였다. 치료 효과는 실리콘관 제거후 마지막 방문 시 환자의 증상이 완전히 없어지고, 눈물띠 높이가 정상화되었을 때 수술 성공으로 간주하였다. 결과: 실리콘관 삽입술의 성공률은 근위부에만 저항이 있는 군(Group I)에서 53.1%, 원위부에만 저항이 있는 군(Group II)에서 78.8%, 근위부와 원위부 모두에 저항이 있는 군(Group III)에서 27.0%였고, 원위부에만 저항이 있는 군에서 성공률이 유의하게 높았다(p=0.001). 결론: 누낭조영술을 시행하지 않고도 눈물길 더듬자 검사에서 코눈물관의 원위부에만 저항이 느껴지는 경우 코눈물관 불완전 폐쇄뿐만 아니라 완전 폐쇄에서도 실리콘관 삽입술의 효과가 좋을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Purpose: To evaluate clinical outcomes of silicone tube intubation according to the site of resistance to lacrimal duct probing in complete or partial nasolacrimal duct obstruction patients. Methods: This study included 102 eyes of 72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complete or partial nasolacrimal duct obstruction and who underwent silicone tube intubation. According to the site of resistant to nasolacrimal duct probing, eyes were divided into proximal resistance (Group I), distal resistance (Group II) and both side resistance (Group III). The success rate was estimated based on functional (symptom relief) and anatomical (normalization of tear meniscus) success. Results: The success rates in Group I, Group II, and Group III were 53.1%, 78.8%, and 27.0%, respectively, showing that Group II attained the highest success rate (Pearson chi-square test, p = 0.001). Conclusions: In cases of only distal resistance to lacrimal probing without dacryocystography, silicone tube intubation should be performed with expectation of good clinical outcomes, even if complete nasolacrimal obstruction was suspected on syringing. KCI Citation Count: 0
ISSN:0378-6471
2092-93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