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 중심장액맥락망막병증에서 나타난 바깥 망막 관상화

목적: 만성 중심장액맥락망막병증에서 Outer Retinal Tubulation (ORT)을 천연색 안저사진과 빛간섭단층촬영으로 관찰한 경우를 보고 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만성 중심장액맥락망막병증로 진단된 환자 중 ORT가 관찰된 3명의 5안에서 천연색 안저사진, 안저자가형광촬영, 형광안 저혈관조영술, 인도사이아닌그린혈관조영술, 그리고 빛간섭단층촬영을 실시하여 ORT의 형태, 위치, 크기를 알아보았다. 결과: 만성 중심장액맥락망막병증을 가진 342명 중 3명(0.88%)에서 ORT가 관찰되었다. ORT는 빛간섭단층촬영에서 관찰...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Daihan angwa haghoi jabji 2014, 55(11), , pp.1642-1650
Hauptverfasser: 유성, Sung Yu, 김진선, Jin Seon Kim, 권수현, Soo Hyun Kwon, 김인택, In Taek Kim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목적: 만성 중심장액맥락망막병증에서 Outer Retinal Tubulation (ORT)을 천연색 안저사진과 빛간섭단층촬영으로 관찰한 경우를 보고 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만성 중심장액맥락망막병증로 진단된 환자 중 ORT가 관찰된 3명의 5안에서 천연색 안저사진, 안저자가형광촬영, 형광안 저혈관조영술, 인도사이아닌그린혈관조영술, 그리고 빛간섭단층촬영을 실시하여 ORT의 형태, 위치, 크기를 알아보았다. 결과: 만성 중심장액맥락망막병증을 가진 342명 중 3명(0.88%)에서 ORT가 관찰되었다. ORT는 빛간섭단층촬영에서 관찰되는 소견이나 만성 중심장액맥락망막병증에서는 천연색 안저사진에서도 그 형태가 관찰되었다. 천연색 안저사진에서 주로 황반부의 망막색소상피 장해가 있는 부위에서 관찰되었고 그 형태는 대체로 원형이거나 난형이었으며 바깥은 짙은 황색으로 그 속은 비어 있었다. ORT는 빛간섭단층촬영 B-scan에서 바깥의 고리는 과반사를 나타내었고 내부는 저반사를 나타내었으며 내부 공간에 과반사의 반점들이 관찰되었다. 빛간섭단층촬영 C-scan에서는 원형이거나 난형으로 나타났다. ORT의 위치는 주로 바깥핵층에 위치하였으나 큰 것은 속핵층까지 뻗쳐 있었다. 그 크기는 빛간섭단층촬영 B-scan에서 170x170 μm을 넘지 않았다. 결론: ORT는 만성 중심장액맥락망막병증에서도 나타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천연색 안저사진에서도 관찰할 수 있었다. 만성 중심 장액맥락망막병증의 ORT는 빛간섭단층촬영 C-scan에서 원형이거나 난형으로 나타났다. Purpose: To evaluate outer retinal tubulation (ORT) found in chronic central serous chorioretinopathy (CSC) using color fundus photography and spectral domai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SD-OCT). Methods: ORT identified in patients with chronic CSC was examined using color fundus photography, fundus autofluorescence image, fluorescein angiography, indocyanin green angiography, and SD-OCT. The images were analyzed for morphological features, location, and size of ORT in the retinal layers. Results: ORT was detected in 3 of 342 (0.88%) chronic CSC patients. Color fundus photography revealed circular or ovoid shape with hollow lumen and deep yellowish border mainly appearing at the affected retinal pigment epithelium layer in the macular area. SD-OCT B-scan revealed hyperreflective material observed inside the hyporeflective internal space with hyperreflective border. ORT had circular or ovoid shape on the SD-OCT C-scan. ORT was primarily located on the outer nuclear layer in the retina, emanating to the inner nuclear layer and was not greater than 170 x 170 μm in size when measured with SD-OCT B-scan image. Conclusions: ORT was identified in patients with chronic CSC which was observed using color fundus photography and circular or ovoid structure was observed using a SD-OCT C-scan. J Korean Ophthalmol Soc 2014;55(11):1642-1650
ISSN:0378-6471
2092-93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