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임으로부터의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의 추출 조건 최적화

타임, 바질, 로즈마리 등 20종의 허브 식물에 대한 80%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분석하였다. 탐색 대상 허브 식물 중 타임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6.90±0.02mg CAE/100 g로 높은 값을 보였으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1.71±0.19mg NE/100 g으로가장 높았다. 또한 DPPH radical 소거능은 93.14±0.23%로 매우 높은 수준의 항산화 활성을 나타냈다. 타임으로부터 플라보 노이드를 추출하기 위하여 용매로서 물, 에탄올, 메탄올, 헥산 중 추출수율이 높은 헥산을 추출용매로 선정하였다....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2020, 63(1), , pp.111-116
Hauptverfasser: 박윤진, Yunjin Park, 이주미, Jumi Lee, 인만진, Man-jin In, 채희정, Hee Jeong Chae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타임, 바질, 로즈마리 등 20종의 허브 식물에 대한 80%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분석하였다. 탐색 대상 허브 식물 중 타임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6.90±0.02mg CAE/100 g로 높은 값을 보였으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1.71±0.19mg NE/100 g으로가장 높았다. 또한 DPPH radical 소거능은 93.14±0.23%로 매우 높은 수준의 항산화 활성을 나타냈다. 타임으로부터 플라보 노이드를 추출하기 위하여 용매로서 물, 에탄올, 메탄올, 헥산 중 추출수율이 높은 헥산을 추출용매로 선정하였다.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하여 타임 추출물의 최적화 추출조건으로 추출온도는 35.9 ℃, 농도는 1.63%, 시간은 192분이었다. 예측된 조건으로 제조한 타임 n-헥산 추출물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예측 값의 96.3%로 반응표면분석법에 의한 추출조건 최적화의 신뢰성이 검증되었다. 이상의 최적화된 추출 조건은 플라보노이드의 생산을 위한 타임의 용매추출 조건으로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otal polyphenol contents, flavonoid contents, 1,1- diphenyl-2-picrylhydrazyl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s of 20 herbal plants (sage, turmeric, mace, bayleaf, fenugreek, oregano, blackpepper, whitepepper, clove, marjoram, cinnamon, coriander, basil, dillseed, mustard, cadamon, thyme, celery, rosemary, cumin) were analyzed for the screening of high flavonoid-containing plant resource. Thyme extract, showing the highest flavonoid content and a high degree of antioxidant activity, was selected as a bioactive cosmetic material. The total polyphenols and flavonoids contents of thyme extracts were measured as 6.90 mg chlorogenic acid equivalent (CAE)/ 100 g and 1.71 mg naringin equivalent (NE)/100 g, respectively,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was 90%. Among the tested organic solvents, hexane gave the highest extraction yield. Thus hexane was selected as the most suitable solvent for the extraction of thyme. Response surface method was used to obtain optimized extraction conditions for thyme: reaction temperature of 35.9 ℃, raw material to hexane ratio of 1.63:25 (w/v), and reaction time of 192 min. These predicted extraction conditions was validated by a total flavonoid extraction experiment showing a value equivalent to 96.3% of the predicted total flavonoid content. It is expected that the optimized solvent extraction conditions could be used for the production of flavonoid using thyme.
ISSN:1976-0442
2234-7941
DOI:10.3839/jabc.2020.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