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지역 췌담관질환 환자의 간흡충 감염 실태: 담즙검사를 기준으로

목적 : 간흡충증의 진단은 분변 또는 담즙에서 간흡충의 성충 또는 충란을 발견하는 것이다. 담즙을 통한 간흡충 진단은 간흡충이 존재하는 담관에서 검체를 직접 채취한다는 장점과 이 검체가 분변이나 체액에 의해 희석되지 않으며, 특히 담관 폐색이 있을 경우 담즙배설 장애로 인한 분변검사의 위음성을 줄일 수 있는 가장 정확한 간흡충의 기생충학적 검사로 생각된다. 이에 저자들은 울산지역 췌담관 질환 환자에서 담즙검사를 기준으로 한 간흡충의 감염 실태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내시경적 또는 경피경간 담관배액술을 통해 담즙을 채취하여 간...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The Korean journal of medicine 2004, 66(5), , pp.521-525
Hauptverfasser: 이기영, Lee Gi Yeong, 주광로, Ju Gwang Lo, 김현수, Kim Hyeon Su, 신수진, Sin Su Jin, 이효섭, Lee Hyo Seob, 윤태권, Yun Tae Gwon, 추연익, Chu Yeon Ig, 박종호, Park Jong Ho, 신정우, Sin Jeong U, 방성조, Bang Seong Jo, 김도하, Kim Do Ha, 박능화, Par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목적 : 간흡충증의 진단은 분변 또는 담즙에서 간흡충의 성충 또는 충란을 발견하는 것이다. 담즙을 통한 간흡충 진단은 간흡충이 존재하는 담관에서 검체를 직접 채취한다는 장점과 이 검체가 분변이나 체액에 의해 희석되지 않으며, 특히 담관 폐색이 있을 경우 담즙배설 장애로 인한 분변검사의 위음성을 줄일 수 있는 가장 정확한 간흡충의 기생충학적 검사로 생각된다. 이에 저자들은 울산지역 췌담관 질환 환자에서 담즙검사를 기준으로 한 간흡충의 감염 실태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내시경적 또는 경피경간 담관배액술을 통해 담즙을 채취하여 간흡충 충란 유무를 확인한 309명의 췌담과 질환 환자에서 간흡충 감염 실태를 조사하였다. 결과 : 대상 환자 전체의 충란 양성률은 27.5%였고, 남녀의 충란 양성률은 각각 35.%와 17.6%로 남자에서 더 높았다. 연령별 충란 양성률은 30대 20.0%, 40대 26.7%, 50대 24.2%, 60대 29.9%, 70대 36.2% 그리고 80대 이상이 16.7%로 연량에 따른 통계적 차이는 없었다. 질병별 충란 양성률은 담관암 32.65, 담낭암 38.5%, 파터팽대부암 11.1%, 췌장암 24.0%, 담석질환 26.4%,간흡충담관염 61.5% 그리고 이외 질환이 12.5%로 간흡충 담관염ㅇ르 제외한 질병간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으며 결석의 위치, 간흡충 연관질환인지 아닌지가 충란 양성률에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담관 조영술을 포함한 방사선 검사에서 정상 담관을 보인 환자에서 충란 양성률은 17.0%였다. 결론 : 본 연구 결과 울산지역 췌담관 질환 환자에서 간흡충 감염률은 연령, 성별, 질병의 종류에 관계없이 전반적으로 매우 높았다. 따라서 이러한 자료를 근거로 생각해 볼 때 우리 나라가 아직도 심각한 간흡충 감염의 유행지임을 추론할 수 있겠다. Background : Bile examination is believed to be the most precise method for detecting Clonorchis sinesis (CS) eggs. We carried out bile examination to evaluate infestation state of CS in patients with pancreatobiliary diseases in Ulsan, known as an endemic area of CS infestation. Methods : We examined CS eggs in bile in three hundreds and nine patients with pancreatobiliary diseases. The bile was obtained from endoscopic nasobiliary or percutaneous transhepatic biliary drainage tubes. Results : The overall egg positive rate was 27.5% (35.3% in male,17.6% in female). The egg positive rat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age group: 20.0% in thirties, 26.7% in forties, 24.2% in fifties, 29.9% in sixties, 36.2% in seventies and 16.7% in eighties or more. The egg positive rate according to the disease, except CS cholangitis, was not also statistically different: 32.6% in bile duct cancer, 38.5% in gallbladder cancer, 11.1% in ampulla of Vater cancer, 24.0% in pancreatic cancer, 26.4% in gallstone diseases and 12.5% in the reminder. The location of gallstone and whether CS related diseases or CS unrelated diseases did not affect the egg positive rates. The egg positive rate in patients with normal radiological findings including cholangiography was 17.0%. Conclusion : This result shows that regardless of age, sex and sorts of diseases, the infestation rate of CS was very high. On the basis of our results, it if therefore presumes that clonorchiasis is still endemic disease in Korea.
ISSN:1738-9364
2289-07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