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암에서 에스트로젠 수용체 알파의 소실과 프로모터 과메틸레이션

목적 : 위암에서 에스트로겐 수용체 알파의 프로모터 부위의 메틸레이션으로 인한 위암 조직 내 발현소실이나 불활성화에 대해서는 아직 보고된 바가 없다. 본 연구에서는 위암 세포주와 위암으로 진단 받은 환자들의 조직에서 에스트로젠 수용체 알파의 발현을 평가한 후 위암에서 에스트로젠 수용체 알파의 소실이 5` 프로모터 부위의 메틸레이션과 관련이 있는지를 알고자 하였다. 방법 : 위암 세포주에 대하여 에스트로젠 수용체 알파의 발현을 보기 위하여 웨스턴블롯(12개 세포주)과 RT-PCR(13개 세포주)을 시행하였다. DNA에 대하여 bisu...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The Korean journal of medicine 2004, 66(5), , pp.504-512
Hauptverfasser: 우인숙, U In Sug, 문도호, Mun Do Ho, 김성훈, Kim Seong Hun, 임소희, Im So Hui, 이명아, Lee Myeong A, 강진형, Kang Jin Hyeong, 홍영선, Hong Yeong Seon, 이경식, Lee Gyeong Sig, 최명규, Choe Myeong Gyu, 정인식, Jeong In Sig, 박경신, Park Gyeong Sin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목적 : 위암에서 에스트로겐 수용체 알파의 프로모터 부위의 메틸레이션으로 인한 위암 조직 내 발현소실이나 불활성화에 대해서는 아직 보고된 바가 없다. 본 연구에서는 위암 세포주와 위암으로 진단 받은 환자들의 조직에서 에스트로젠 수용체 알파의 발현을 평가한 후 위암에서 에스트로젠 수용체 알파의 소실이 5` 프로모터 부위의 메틸레이션과 관련이 있는지를 알고자 하였다. 방법 : 위암 세포주에 대하여 에스트로젠 수용체 알파의 발현을 보기 위하여 웨스턴블롯(12개 세포주)과 RT-PCR(13개 세포주)을 시행하였다. DNA에 대하여 bisulfite modification을 하여 메틸레이션 특이적 중합효소 연쇄반응과 TA 클로닝 후에 염기서열 분석을 시행하였다. 위내시경 조직검사에서 위암으로 진단 받은 42명의 위암 환자의 조직에 대하여 에스트로젠 수용체 알파에 대한 면역조직 화학검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 위스턴블롯과 RT-PCR결과 KatoⅢ 세포주의 mRNA만 약하게 발현되었으며 모두 음성 반응을 보였다. 메틸레이션 특이적 중합효소 연쇄반응에서 모두 양성이었다. 염기서열 분석에서 ATG 시작 코돈 주변의 CpG island의 methylation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 위암에서 에스트로젠 수용체 알파의 ATG 시작 코돈주변의 프로모터 부위의 CpG 부위에서 관찰된 메틸레이션은 ER-α유전자의 소실을 일으킬 수 있는 원인의 하나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 The significance of ER expression and hormone manipulation in gastric cancer is not established. There have been several reports supporting the role of the ER gene as tumor suppressor gene in carcinogenesis. The ER-α gene is located on chromosome 6q25.1. Deletions of the long arm of chromosome 6 are common in gastric carcinoma, suggesting the pressence of tumor suppressor genes in this region. The proportion of ER-positive gastric cancers ranges between 0% and 67% depending on the method of detection. Epigenetic inactivation might explain the loss of ER-α gene expression in gastric cancer. There is no information available regarding the methylation status of the ER-α gene promotor region in gastric cancer so fa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expression of ER-α in gastric cancer cell lines and determine whether methylation of the 5` promotor region is associated with loss of ER-α expression in gastric cancer. Methods : We investigated such methylation in 13 gastric cancer cell lines. Western blot analysis,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methylation-specific PCR (MS-PCR) and bisulfite sequencing analyses were used.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for the ER-α gene was dome for forty-two paraffin embedded tissues from gastric cancer patients. Results : ER-α protein was not detected in any cell line, ER-α mRNA was expressed in only Kato Ⅲline. MS-PCR and bisulfite sequencing showed all thirteen gastric cancer cell lines had methylated CpG regions in their ER-α gene promoters.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of ER-α showed no positivity in any of examined samples. Conclusion : Inactivation of ER-α gene expression in gastric cancer cell lines appears associated with CpG island methylation near the TGA initiation codon
ISSN:1738-9364
2289-07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