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30년간 국내 논문에 보고된 납중독증에 대한 고찰
배경 : 납은 우리 주변 환경에 널리 존재하며 오랜 시간 동안 여러 용도로 사용되면서 많은 납중독 사례가 보고 되었다. 특히 우리나라를 비롯한 주변동남아 국가에서는 한약에 의한 비직업성 납중독이 보고 되고 있다. 방법 : 1973년부터 2002년까지 Medric을 통하여 검색한 납중독 관련 논문들과 이들의 참고문헌을 바탕으로 총 45예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고, 이들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특성으로 분류하였다. 1) 보고연도, 2) 연령, 3) 성별, 4) 노출경로, 5) 노출기간, 6) 발현된 중독 증상, 7) 치료 결과 : 전체...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The Korean journal of medicine 2004, 66(6), , pp.617-624 |
---|---|
Hauptverfasser: | , , , , , , , , ,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배경 : 납은 우리 주변 환경에 널리 존재하며 오랜 시간 동안 여러 용도로 사용되면서 많은 납중독 사례가 보고 되었다. 특히 우리나라를 비롯한 주변동남아 국가에서는 한약에 의한 비직업성 납중독이 보고 되고 있다.
방법 : 1973년부터 2002년까지 Medric을 통하여 검색한 납중독 관련 논문들과 이들의 참고문헌을 바탕으로 총 45예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고, 이들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특성으로 분류하였다. 1) 보고연도, 2) 연령, 3) 성별, 4) 노출경로, 5) 노출기간, 6) 발현된 중독 증상, 7) 치료
결과 : 전체 환자들의 평균 연령은 41.4세였고, 성별에 따른 분포는 큰 차이가 없었다. 비직업적 납중독은 대부분 한약에 의한 경우들이었다. 한약에 의한 납중독의 경우 한양의 평균 복용기간은 7.3±3.8개월이었고, 복용량은 5 ㎎∼3 g까지 다양하였다. 납중독 환자들의 임상증상은 주로 복통, 두통, 변비 등이었다. 특징적인 실험실 소견으로 빈혈이 관찰되었다. 주 치료 약제는 경구 penicil lamine이 사용되었다.
결론 : 납중독은 임상에서 비슷한 증상을 보이는 유사한 질환이 많아 진단하기에 어려운 면이 있다. 특히 비직업성 납중독의 경우는 더욱 그러하다. 우리나라에서는 서양과는 달리 한약제에 의한 비직업성 납중독이 다수 발견되어 왔다. 본 저자들은 이러한 납중독의 예방과 관리를 위해 건강보조식품이나 한약(특히, 한약류) 등의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제조 및 향후 관리가 필요하다고 생각하게 되었다.
Background : Because of widespread and long-term use of lead, many lead poisoning cases were reported. Especially, in Korea including Southeast Asia, we observed non-occupational lead poisoning cases by herbal medication. Methods : We identified total 45 cases of lead poisoning through Medric search, from 1973 to 2002. Bibliographies of relevant articles were reviewed. We arranged cases by attributes following 1) reported year, 2) age, 3) sex, 4) exposure sources, 5) exposure duration, 6) clinical manifestation, 7) treatments. Results : The average age of the patients was 41.4±15.7 year-old. The distribution by sex did not have difference each other. The non-occupational lead poisoning cases were mostly caused by Chinese herbal medication. On the cases of the herbal lead poisoning, average exposure duration was 7.3±3.8 months and the various dosages were taken from 5 ㎎ to 3 g. The major clinical symptoms were abdominal pain, headache, and constipation. The typical laboratory finding was anemia. Major treatment agent was oral penicillamine. conclusion : To differential diagnose of the lead poisoning from many diseases with similar symptoms is very difficult solely on the clinical aspect. Especially, in non-occupational cases it is more difficult. In Korea, non-occupational lead poisoning cases by herbal medication have been discovered more than in western countries. We reviewed about the lead poisoning cases since 1973, so we want to make an aware of scientific and rational making and management of lead in the health supplementary food and herbal medicine. |
---|---|
ISSN: | 1738-9364 2289-076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