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혈성 심질환과 정상인의 운동부하 검사상 심박수 변화량 및 변화율의 차이
목적 : 허혈성 심질환에서 운동부하 검사시 부교감신경계 재활성의 억제 정도가 반영되어 최고 운동 후 회복기 심박수의 변화량 및 변화율이 정상인보다 억제되는지를 알아보고 이에 따른 심실성 빈맥의 발생에 차이가 있는지를 고찰하였다. 부가적으로 허혈성 심질환에서 심근의 탈분극을 반영하는 R 파의 진폭의 변화가 정상인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방법 : 운동부하 검사는 연령 및 성별로 보정한 최대 심박수의 85% 이상을 적정 목표 심박수로 하여 Marquette사 case 8000 모델(미국)을 이용해 modified Bruce prot...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The Korean journal of medicine 2004, 66(6), , pp.586-592 |
---|---|
Hauptverfasser: | , , , , , , , , , , , , , , ,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목적 : 허혈성 심질환에서 운동부하 검사시 부교감신경계 재활성의 억제 정도가 반영되어 최고 운동 후 회복기 심박수의 변화량 및 변화율이 정상인보다 억제되는지를 알아보고 이에 따른 심실성 빈맥의 발생에 차이가 있는지를 고찰하였다. 부가적으로 허혈성 심질환에서 심근의 탈분극을 반영하는 R 파의 진폭의 변화가 정상인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방법 : 운동부하 검사는 연령 및 성별로 보정한 최대 심박수의 85% 이상을 적정 목표 심박수로 하여 Marquette사 case 8000 모델(미국)을 이용해 modified Bruce protocol로 시행하였다. 혈압, 심박수 및 심전도의 측정은 운동부하 전 기립위와 앙와위에서 측정하였으며 운동부하시는 매 3분 간격으로 답차운동의 단계가 증가할 때와 최대 운동시에 측정하였고, 회복기에는 각 1분, 3분, 5분 및 필요시 연장하여 측정하였다. 심박수의 변화량은 각 단계별 심박수로 그 전단계의 심바수를 뺀 절대값으로 하였으며, 심박수의 변화율은 각 단계별 변화량을 그 전단계의 심박수로 나눈 값을 백분율로 하였다. 또한 운동에 따른 부정맥의 발생 양상 및 빈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안정시 심전도와 운동부하 검사를 시행하는 동안 및 회복기로 각각의 구간을 나누어 각 구간 중에 부정맥의 발생 유무와 종류, 빈도를 측정하였다. 안정시와 최대 운동시를 비교한 R 파 크기의 변화는 aVF 유도에서 대조군은 0.107±0.3403 mV였고, 양성군은 0.022±0.3771 mV로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p=0.106), V5 유도에서도 대조군은 0.034±0.3439 mV였고, 양성군은 0.018±0.5061 mV로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782).
결과 : 전체 253명 중 남자 106명, 여자 147명이었으며, 남녀를 포함하여 대조군 196명(남자 78명, 여자 118명)이였고, 양성군 57명(남자 28명, 여자 29명)이었다. 평균 연령은 대조군 55±8.8세였고, 양성군 58±9.4세로 비슷하였다(p>0.05). 양군의 운동량은 양성군 8.1±2.5METs으로 대조군 10.5±2.3METs 보다 낮았다(p |
---|---|
ISSN: | 1738-9364 2289-076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