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0°로 발생한 결막의 출혈림프관확장증

목적: 결막의 출혈림프관확장증이 360°로 연결된 원주형으로 발생하였다가 저절로 회복된 환자 1예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44세 여자 환자가 내원 1일 전에 발생한 우안의 충혈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특별한 전신 질환 기왕력 및 외상력은 없었고, 내원 전 약 3회에 걸쳐 호전과 재발이 반복되었다. 시력저하, 통증 등의 동반 증상은 없었고 혈액검사 및 안와 전산화단층촬영, 혈관조영검사상 특이 소견은 없었다. 세극등현미경검사상 우안 각막윤부로부터 약 6 mm 떨어진 위치의 안구결막하에 360°로 연결된 원주형의 림프관확장이 관찰되...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Daihan angwa haghoi jabji 2020, 61(3), , pp.298-302
Hauptverfasser: 박수진(Su Jin Park), 지미정(Mijung Chi)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목적: 결막의 출혈림프관확장증이 360°로 연결된 원주형으로 발생하였다가 저절로 회복된 환자 1예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44세 여자 환자가 내원 1일 전에 발생한 우안의 충혈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특별한 전신 질환 기왕력 및 외상력은 없었고, 내원 전 약 3회에 걸쳐 호전과 재발이 반복되었다. 시력저하, 통증 등의 동반 증상은 없었고 혈액검사 및 안와 전산화단층촬영, 혈관조영검사상 특이 소견은 없었다. 세극등현미경검사상 우안 각막윤부로부터 약 6 mm 떨어진 위치의 안구결막하에 360°로 연결된 원주형의 림프관확장이 관찰되었고, 림프관 내 출혈이 동반되었다. 또한 좌안의 4시, 8시 방향 안구결막하에 불규칙한 국소 림프관확장이 관찰되었다. 약 2주 후 출혈이 호전되었으나 투명한 확장된 림프관은 세극등현미경검사 및 전안부 빛간섭단층촬영을 통해 여전히 관찰할 수 있었다. 결론: 구결막 림프관의 해부학적 구조를 따라 360°에 걸쳐 발생한 출혈림프관확장증을 국내 최초로 보고하는 바이다. Purpose: We report a case of hemorrhagic lymphangiectasia of the conjunctiva with a 360° connected circumference, which recovered spontaneously. Case summary: A 44-year-old female patient presented with congestion of the right eye 1 day prior to her visit. There was no history of any systemic disease or trauma, but she had experienced relapses of the same episode three times before the visit. There were no accompanying symptoms such as decreased vision or pain. Blood analysis, orbital computed tomography, and angiographic findings showed no remarkable finding. Slit lamp examination showed circumferential lymphatic dilatation extending 360° under the conjunctiva of the eye at a distance of about 6 mm behind the limbus of the right eye, which was accompanied by intralymphatic bleeding. Irregular local lymphatic dilatations were observed on the bulbar conjunctiva at 4 and 8 o'clock of the left eye. The bleeding spontaneously resolved in about 2 weeks, but the translucent enlarged lymphatic vessels were still observed on slit lamp examination and anterior segment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Conclusions: This is the first reported case of hemorrhagic lymphangiectasia involving 360° of the bulbar conjunctiva in Republic of Korea. KCI Citation Count: 0
ISSN:0378-6471
2092-93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