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sort 방법론을 활용한 SW 개발인력의 직무행복 유형 분석
본 연구는 Q-sort 방법론을 통해 직무행복에 관한 SW 인력의 주관적 인식을 조사하였다. 63 명의 응답자들을 분석하여 매우 차별화된 특성을 가진 4 개의 직무행복 유형들이 도출되어 ‘안정추구 직장생활형’, ‘도전적 자기주도 기술지향형’, ‘현실적 전문가추구형’, ‘순수 기술지향 업무몰입형’으로 명명되었다. ‘도전적 자기주도 기술지향형’과 ‘순수 기술지향 업무몰입형’ 유형은 최신 ICT 에 흥미를 가지고 전문성으로 인정을 받으며 자아실현 하는 것을 직무행복이라 생각한다. 반면 ‘안정추구 직장생활형’과 ‘현실적 전문가추구형’은 직...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Inteonet jeongbo hakoe nonmunji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Internet Information 2020, 21(1), , pp.57-70 |
---|---|
Hauptverfasser: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본 연구는 Q-sort 방법론을 통해 직무행복에 관한 SW 인력의 주관적 인식을 조사하였다. 63 명의 응답자들을 분석하여 매우 차별화된 특성을 가진 4 개의 직무행복 유형들이 도출되어 ‘안정추구 직장생활형’, ‘도전적 자기주도 기술지향형’, ‘현실적 전문가추구형’, ‘순수 기술지향 업무몰입형’으로 명명되었다. ‘도전적 자기주도 기술지향형’과 ‘순수 기술지향 업무몰입형’ 유형은 최신 ICT 에 흥미를 가지고 전문성으로 인정을 받으며 자아실현 하는 것을 직무행복이라 생각한다. 반면 ‘안정추구 직장생활형’과 ‘현실적 전문가추구형’은 직무행복에서 급여와 복지혜택, 승진 등이 더 중요하며 기술자 경력경로로 성장하는 것에는 큰 관심이 없었다. 오늘날은 우수한 SW 개발인력이 경쟁력의 핵심이다. 국가와 기업은 국내 ICT 인력들의 직무행복 추구 성향과 특성에 대해 정확하게 이해함으로써 행복 증진방안을 현실감 있게 마련하여야 한다. 우리나라는 제 4유형과 같은 ‘순수 기술지향 업무몰입형’인력들이 부족한 만큼 SW 개발자들이 기술전문가로서 자부심과 긍지를 가지고 창의성을 발휘하며 고품질의 산출물을 생산할 수 있도록 행복한 직무 생태계를 조성해주어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경쟁력을 확보하여야 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subjective perception of software developers on happiness at work through the Q-sort methodology. Analysis of 63 respondents revealed four types happiness at work with highly differentiated characteristics: 'stability of work oriented', ‘defiant self-driven, technology-oriented', 'realistic professionalism oriented', and 'genuinely technology and task-immersion oriented'. The ‘defiant self-driven, technology-oriented' and 'genuinely technology and task-immersion oriented' types are interested in latest ICT and consider recognition of one’s professionalism as well as self-realization result in happiness at work. On the other hand, the 'stability of work oriented' and 'realistic professionalism oriented' types did not pay much attention to one’s growth of technical career but emphasized salary, welfare benefits and job promotion as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happiness at work. Today, extraordinary SW developers are a key factor to acquire industrial competitiveness. Nations and corporations should prepare realistic ways to promote overall happiness at work by accurately understanding the varying characteristics and predisposition of domestic ICT personnel. In Korea, it is found that there is a shortage of 'genuinely technology and task-immersion oriented' SW developers. In order to secure national and industrial competitiveness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creation of work ecosystem to promote high levels of happiness at work is required to secure quality software production and pride as an ICT professional. |
---|---|
ISSN: | 1598-0170 2287-1136 |
DOI: | 10.7472/jksii.2020.21.1.5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