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사-의사 협력이 중환자실 간호사의 간호업무성과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목적: 본 연구는 중환자실 간호사가 인지하는 간호사-의사 협력이 간호업무성과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방법: 연구의 대상은 J도 2개 상급종합병원과 2개 종합병원 중환자실에서 근무하는 중환자실 근무경력 1년 이상의 정규직 간호사 210명이었으며, 자료 수집은 한국형 간호사-의사 협력, 간호업무성과 및 조직몰입 측정도구를 이용하여 2017년 9월에 시행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WIN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독립t-검정(independent t-test), 일원분산분석(One-w...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Kanho Haengjŏng Hakhoe chi =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2019, 25(3), , pp.186-197
Hauptverfasser: 권의옥(Kwon, Eui Ok), 이명하(Lee, Myung Ha), 정석희(Jeong, Seok Hee), 김희선(Kim, Hee Sun)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목적: 본 연구는 중환자실 간호사가 인지하는 간호사-의사 협력이 간호업무성과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방법: 연구의 대상은 J도 2개 상급종합병원과 2개 종합병원 중환자실에서 근무하는 중환자실 근무경력 1년 이상의 정규직 간호사 210명이었으며, 자료 수집은 한국형 간호사-의사 협력, 간호업무성과 및 조직몰입 측정도구를 이용하여 2017년 9월에 시행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WIN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독립t-검정(independent t-test),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사후검정(Sheffé test), 상관관계(Pearson's correlation), 위계적 회귀분석(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결과: 중환자실 간호사가 인지하는 간호사-의사 협력의 정도는 하위 영역별로 ‘환자 정보공유’가 5점 만점에 평균 3.77±0.51점, ‘치료ㆍ돌봄에 대한 의사결정 과정’이 평균 3.36±0.65점, ‘간호사-의사 간 관계’가 평균 3.20±0.72점이었으며, 간호업무성과는 5점 만점에 평균 3.69±0.52점, 조직몰입은 7점 만점에 평균 4.03±0.87점으로 나타났다. 중환자실 간호사가 인지하는 간호사-의사 협력, 간호업무성과 그리고 조직몰입 간에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환자실 간호사가 인지하는 간호사-의사 협력은 간호업무성과에 대한 설명력을 24.9%p 증가시켰으며, 간호사-의사 협력 하위요인 중에서 ‘환자 정보공유’와 ‘간호사-의사 간 관계’는 간호업무성과에 대한 유의한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간호사-의사 협력은 조직몰입에 대한 설명력을 25.3%p 증가시켰으며, ‘간호사-의사 간 관계’가 조직몰입에 유의한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결론: 중환자실 간호사의 간호업무성과와 조직몰입을 높이기 위해서는 간호사와 의사 간의 환자 정보공유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간호사와 의사 간의 상호존중의 인간관계 증진이 향상될 수 있는 협력적인 직무환경을 조성하여야 하며, 조직적인 차원에서 간호사-의사 협력 수준을 높이는 포괄적이고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identify the effects of nurse-physician collaboration on nursing performance andorganizational commitment in intensive care unit (ICU) nurses. Methods: A cross-sectional survey was used and datawere collected from 203 ICU nurses working in two advanced general hospitals and two general hospitals. Data were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é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with SPSSWIN 23.0 program. Results: The sub-domains of nursephysiciancollaboration were as follows: 3.77±0.51 for sharing of patient information, 3.36±0.65 for decision-makingprocess on the cure or care, and 3.20±0.72 for relationship between nurse and physician. Nurse-physician collaborationwas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nursing performanc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Regressionanalysis showed that nurse-physician collaboration explained an additional 24.9%p of nursing performance and anadditional 13.4%p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Sharing of patient information' and 'Relationship between nurse andphysician'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nursing performance. ‘Relationship between nurse and physician’ was asignificant predictor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Conclusion: These results provide evidence that the collaborationbetween nurses and physicians should be enhanced in term
ISSN:1225-9330
2288-49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