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설 냉방 방법이 토마토와 고추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고온기 시설재배시 냉방방법별 냉방효과를 조사하고 이 효과가 토마토와 고추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냉방방법은 무처리(주․야 무냉방), 주간냉방, 야간냉방, 주․야냉방의 4처리로 하였고, 주간냉방은 송풍식 연무기를 이용한 증발냉각으로, 야간냉방은 냉수순환 radiator 냉풍기를 이용하였다. 시설내의 주간 최고온도는 냉방처리구가 무처리구보다 4℃정도 낮았으나 외부온도보다는 2℃정도 높았다. 상대습도는 무처리에 비해 주간냉방은 10~20%정도, 야간냉방은 5%정도 높았다. 주간의 온도와 습도는 외부 기상에 따른 차이...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Weon'ye gwahag gi'sulji 2004, 22(4), , pp.388-392 |
---|---|
Hauptverfasser: | ,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고온기 시설재배시 냉방방법별 냉방효과를 조사하고 이 효과가 토마토와 고추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냉방방법은 무처리(주․야 무냉방), 주간냉방, 야간냉방, 주․야냉방의 4처리로 하였고, 주간냉방은 송풍식 연무기를 이용한 증발냉각으로, 야간냉방은 냉수순환 radiator 냉풍기를 이용하였다. 시설내의 주간 최고온도는 냉방처리구가 무처리구보다 4℃정도 낮았으나 외부온도보다는 2℃정도 높았다. 상대습도는 무처리에 비해 주간냉방은 10~20%정도, 야간냉방은 5%정도 높았다. 주간의 온도와 습도는 외부 기상에 따른 차이가 컸다. 시설냉방이 토마토의 생육과 수량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못했는데, 주간 고온에 의한 화기의 피해, 착과제처리의 영향 등이 그 원인으로 생각되었다. 고추는 냉방방법별 생육 차이는 없었으나 수량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주․야냉방구와 야간냉방구가 가장 많았고, 다음이 주간냉방구, 무처리 순이었다. 이 같은 수량차이의 원인은 냉방에 의해 소모억제된 영양이 생식기관으로 전류되어 착과에 좋은 영향을 미쳤거나 또는 송풍에 의해 수분이 촉진되었을 수도 있는 등 복합적인 요인으로 생각된다.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iciency of cooling according to the cooling methods and test the growth and yield of tomatoes and peppers grown in the greenhouses during summer. The cooling methods were composed of the non-cooling, daytime cooling, nighttime cooling and all-day cooling. The daytime cooling induced by evaporation system utilizing an air cooler, the nighttime cooling induced by air flow using a fan with radiator. The highest room temperature was 4℃ lower in cooling than non-cooling and was 2℃ higher in cooling than out door temperature. The relative humidity was 10 to 20% and 5% higher in daytime and nighttime cooling than non-cooling, respectively. The room temperature and the relative humidity of the daytime were affected greatly by outside environment. The growth and yield of tomatoes made little differences from the cooling methods because of the other factors such as flower organ demage by high temperature and fruiting chemicals. The growth of pepper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ces between cooling methods, while the yield was highest in all-day and nighttime cooling, followed by daytime cooling and non-cooling. Results showed that the cooling had a great effect on the fruiting and yield of peppers, because of complex factors such as nutrition accumulated by cooling and pollination accelerated by air flow. KCI Citation Count: 5 |
---|---|
ISSN: | 1226-8763 2465-858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