밤나무 교잡종 과실의 질적 특성
본 연구는 밤나무 교잡종 과실의 조합별 및 개체별 질적특성을 조사함으로써 신품종 육성의 기초 자료뿐만 아니라 품종검정 기준설정의 기초자료로 활용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과실모양은 11 조합의 많은 개체에서 타원형(85.30%)을 나타냈으며 K×R 등 5조합에서 삼각형(3.78%), R×K 등 8조합에서 원형(5.46%), R×O 등 3조합에서 장타원형(5.46%)으로 각각 관찰되었다. 과피색은 모든 조합에서 암갈색과 적갈색이 각각 49.16%와 38.24%로 관찰되었으며 과피털은 K×R과 R×K만이 과피 전체에서 각각 1개체씩 관찰...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Weon'ye gwahag gi'sulji 2005, 23(1), , pp.71-78 |
---|---|
Hauptverfasser: |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본 연구는 밤나무 교잡종 과실의 조합별 및 개체별 질적특성을 조사함으로써 신품종 육성의 기초 자료뿐만 아니라 품종검정 기준설정의 기초자료로 활용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과실모양은 11 조합의 많은 개체에서 타원형(85.30%)을 나타냈으며 K×R 등 5조합에서 삼각형(3.78%), R×K 등 8조합에서 원형(5.46%), R×O 등 3조합에서 장타원형(5.46%)으로 각각 관찰되었다. 과피색은 모든 조합에서 암갈색과 적갈색이 각각 49.16%와 38.24%로 관찰되었으며 과피털은 K×R과 R×K만이 과피 전체에서 각각 1개체씩 관찰되었다. 과피털의 밀도는 대부분의 조합에서 92.86%가 중 이상이었으며 좌면의 크기는 E×O, E×R, K×O에서만 중 이상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과실의 광택은 K×O조합에서만 약인 개체가 출현하였으며 열과형태는 모든 조합에서 3가지 형태 중 2가지 이상의 형태가 각각 혼재되어 있었다. 양적형질이 우수한 8개체 중 RO-22, RO-25 등 2개체만이 과실모양과 과피색이 각각 장타원형과 암갈색을 나타내었으며 OK-2 제외한 나머지 5개체는 각각 타원형과 적갈색으로 관찰되었다. 과피털의 위치는 OK-2 제외한 모든 개체는 과정부였으며 과피털의 밀도는 IO-15 제외한 모든 개체에서 밀하게 분포하였다. 좌면의 크기는 JO-7과 RO-25 개체가 가장 작았으며 광택은 K×O의 1개체를 제외한 모든 개체에서 중 이상으로 우수하였다. 열과형태는 JO-7과 JO-12, IO-15, OK- 15 개체에서 각각 과정부 열과와 주두부 열과 등 각각 단일형태를 나타낸 반면, OK-2 등 4개체는 과정부 열과와 측면부 열과가 혼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내피박피성을 조사한 결과, OK-2, OK- 4, OK-15 등 3개체는 내피박피율이 20% 내외로 불량한 반면 RO-25, JO-12 등 2개체의 내피박피율이 각각 78.6%, 72.4%로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aimed to applicate as the basic data for the presentation of International Union for the Protection of New Varieties of Plants (UPOV) guideline and for breeding new cultivars through qualitative characteristics of nut in chestnut hybrids. In nut shape, oval type, 85.30%, could be observed in all combinations, and triangle type, 3.78%, in K×R, K×O, E×R, I×R, J×O, and oblong type, 5.46%, in R×O, I×O, E×O, I×R, respectively. Both dark and reddish brown, 49.16% and 38.24%, in nut color were observed in all combinations, and nut pericarp hairs in only K×R, R×K could be observed in whole part. The density of its hair showed above middle rank (92.86%) in most of combinations, and the size of hilum area showed above middle rank in only E×O, K×O and E×R. Ten combinations except K×O showed a good condition in nut luster, and two or three types of three split type could be observed in all combinations, simultaneously. Superior individuals, RO-22 and RO-25, showed oblong and dark brown, but others except OK-2 showed oval and reddish brown in nut shape and nut color, respectively. In position of nut pericarp hair, only OK-2 showed stigma part, but all of superior individuals except IO-15 showed thickness in its density. Only JO-7 and RO-25 were smaller than others in size of hilum area, and JO-7, OK-4, OK-15, RO-22 and RO-25 had nuts with excellent luster. Most of individuals had nuts with two or three types in type of nut split, and JO-7, JO-12, IO-15 and OK-15 showed only single type. In peeling rate, OK-2, OK-4 a |
---|---|
ISSN: | 1226-8763 2465-858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