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액 재배 시 ‘서건’과 ‘카케무샤’ 토마토의 초기 생육에 미치는 근권온도의 영향

본 연구는 양액 재배 시 근권온도가 두 품종의 토마토 초기생육과 무기성분 흡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근권온도는 각각 ambient, 10, 15, 25℃로 처리하였으며, 야간대기온도는 최저 10℃가 되게 하였다. 초장, 엽수, 지상부 및 지하부 생체중과 건물중, 경경 모두 품종 간에 근권온도의 처리에 관계없이 유의성이 매우 크게 나타났으며 ambient처리구에 비해 25℃처리에서 모든 생육이 뚜렷하게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 하지만 근장에 있어서는 근권온도처리 간 그리고 품종 간에 모두 유의성이 없었다. 엽록소농도...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Weon'ye gwahag gi'sulji 2002, 20(1), , pp.10-14
Hauptverfasser: 김영석(Young-Suk Kim), 허무룡(Moo-Ryong Huh), 박중춘(Joong-Choon Park)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본 연구는 양액 재배 시 근권온도가 두 품종의 토마토 초기생육과 무기성분 흡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근권온도는 각각 ambient, 10, 15, 25℃로 처리하였으며, 야간대기온도는 최저 10℃가 되게 하였다. 초장, 엽수, 지상부 및 지하부 생체중과 건물중, 경경 모두 품종 간에 근권온도의 처리에 관계없이 유의성이 매우 크게 나타났으며 ambient처리구에 비해 25℃처리에서 모든 생육이 뚜렷하게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 하지만 근장에 있어서는 근권온도처리 간 그리고 품종 간에 모두 유의성이 없었다. 엽록소농도는 '서건'은 생육기간이 길수록 모든 처리구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카케무샤'는 10일의 농도가 30일까지 계속 지속되었다. 안토시아닌은 근권온도가 낮은 처리구일수록 두 품종 공히 높은 결과를 보였으며 생육기간 도중 증가 후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식물체 무기성분은 품종에 관계없이 T-N와 P은 근권온도가 높을수록 증가하는 반면 Na은 25℃처리에서 감소하였다. 그리고 Mg과 Ca은 근권온도에 뚜렷한 영향을 받지 않았다.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effect of root zone temperatures on the early growth characteristics and mineral concentrations in 'Seokun' and 'Kakemusa' tomato grown in hydroponics. Root zone temperatures were of either ambient, 10, 15, or 25℃, while the lowest night temperature was kept at 10℃. Plant height, leaf number, fresh and dry weights of shoot and root, and crown diameter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both cultivars. Plant growth was best at 25℃ among all temperatures tested and the ambient treatment showed the lowest plant growth. The chrolophyll concentrations were increased as the days elapsed from transplanting in 'Seokun'. However, the similar results were not observed in 'Kakemusa' even a 10 days after transplanting at all root zone temperatures. The anthocyanin contents were higher at 10℃ root zone temperature than 15 and 25℃ in both cultivars. The mineral concentrations were changed according to root zone temperatures. T-N and P were high in 25℃ root zone temperature and Na concentrations were high in ambient, whereas Mg and Ca were not affected by root zone temperatures. KCI Citation Count: 1
ISSN:1226-8763
2465-85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