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액 재배에 의한 배추 뿌리혹병 대량 접종법 개발
배추는 우리나라 전역에서 4계절에 거처 지속적으로 재배되고 있는 주요 채소 중 하나로 김치의 주 재료로 이용된다. 따라서 품종과 작부체계가 매우 잘 개발되어 노지 주년 생산이 가능하게 되었다. 그런데 토양을 통해 전염되는 뿌리혹병이 우리나라 전 지역에 발병하면서 상품성 있는 배추 생산을 저하시킴으로 현재 배추 재배에 가장 큰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저항성 품종 육성을 위해 육종가들은 많은 계통에 뿌리혹병을 접종해야 하는데, 현재까지의 토양을 이용한 접종 방법은 관찰과 소독을 위해 많은 시간과 노력이 요구되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Weon'ye gwahag gi'sulji 2008, 26(4), , pp.449-453 |
---|---|
Hauptverfasser: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배추는 우리나라 전역에서 4계절에 거처 지속적으로 재배되고 있는 주요 채소 중 하나로 김치의 주 재료로 이용된다. 따라서 품종과 작부체계가 매우 잘 개발되어 노지 주년 생산이 가능하게 되었다. 그런데 토양을 통해 전염되는 뿌리혹병이 우리나라 전 지역에 발병하면서 상품성 있는 배추 생산을 저하시킴으로 현재 배추 재배에 가장 큰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저항성 품종 육성을 위해 육종가들은 많은 계통에 뿌리혹병을 접종해야 하는데, 현재까지의 토양을 이용한 접종 방법은 관찰과 소독을 위해 많은 시간과 노력이 요구되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플러그트레이와 우레탄 스폰지를 이용한 양액재배에 의한 뿌리혹병 접종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양액재배 접종법으로 8주간 시험 결과 성공적으로 병증을 유도할 수 있었다. 러시아에서 도입된 자원의 경우 저항성 비율이 45% 이하로 낮았으며 국내외 시판 품종의 경우 저항성 비율이 61% 이상인 품종이 3점 있었다. 본 연구 결과 개발한 양액재배에 의한 뿌리혹병 접종법으로 소량의 접종액을 활용하여 효과적으로 병증을 유도할 수 있었으며, 병반의 관찰 및 잔유물 처리 노력 및 시간을 단축시킴으로 육종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Chinese cabbage (Brassica rapa L.) is one of the major vegetables in Korea that has been traditionally used as main ingredients of ‘Kimchi’. The cultivation system and varieties of Chinese cabbage have been so well developed that year-round culture using bare land is possible in Korea. However, the soil-born clubroot restricts cultivation of Chinese cabbage in the whole country. It caused root swelling and severe leaf wilting which reducing production of Chinese cabbage in Korea. To develop resistant varieties, breeders have to inoculate clubroot in their numerous breeding lines. However, current inoculation method demands much labor and time for investigation and sterilization.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we tried to develop a new method of soil-less inoculation method of clubroot using plug tray, urethane sponge as matrix and nutrient solution as media. Using this method, we successfully induced a typical symptom of clubroot after 8 weeks of hydroponic culture. The Russian accession showed less than 45% of resistance ratio and 3 collected varieties showed resistance ratio over 61%. We successfully induced the clubroot symptoms while reducing the amount of inoculums and labor required for the investigation and sterilization. This system can be used in clubroot resistant breeding program by screening numerous off-springs and germplasms of Brassica plants. KCI Citation Count: 5 |
---|---|
ISSN: | 1226-8763 2465-858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