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A₃와 Thidiazuron 처리가 ‘거봉’ 포도의 무핵화와 과실품질에 미치는 영향

본 실험은 GA3와 thidiazuron(TDZ)이 ‘거봉’ 포도의 무핵과율, 수확시기, 열과 및 과실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2008년에서 2009년까지 2년간 수행되었다. 2008년에는 GA3 25.0mg·L-1에 TDZ 2.5mg·L-1를 혼용한것과 혼용하지 않은 것을 만개기와 만개 후 14일에 침지처리하였다. 과실의 무핵과율과 과실비대는 GA3 25.0mg·L-1에 TDZ 2.5mg·L-1를 2차에만 혼용처리 한 경우 TDZ를 1,2차 모두 혼용처리한 것에 비하여 약간 증가하였다. 반면에 열과발생률은 모든 생장조절제...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Weon'ye gwahag gi'sulji 2013, 31(2), , pp.135-140
Hauptverfasser: 이별하나(ByulHaNa Lee), 권용희(YongHee Kwon), 박요섭(YoSup Park), 박희승(Hee-Seung Park)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본 실험은 GA3와 thidiazuron(TDZ)이 ‘거봉’ 포도의 무핵과율, 수확시기, 열과 및 과실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2008년에서 2009년까지 2년간 수행되었다. 2008년에는 GA3 25.0mg·L-1에 TDZ 2.5mg·L-1를 혼용한것과 혼용하지 않은 것을 만개기와 만개 후 14일에 침지처리하였다. 과실의 무핵과율과 과실비대는 GA3 25.0mg·L-1에 TDZ 2.5mg·L-1를 2차에만 혼용처리 한 경우 TDZ를 1,2차 모두 혼용처리한 것에 비하여 약간 증가하였다. 반면에 열과발생률은 모든 생장조절제 처리에서 무처리구에비해 높게 조사되었다. 2009년에는 GA3 12.5mg·L-1과 GA325.0mg·L-1를 만개기와 만개 후 14일에 두 번 침지 처리하였으며 TDZ 2.5mg·L-1를 만개 후 14일에만 혼용 처리하였다. 열과발생율은 GA3의 농도에 영향을 받았다. GA3 25.0mg·L-1의 고농도에서는 열과발생율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GA3 농도를 12.5mg·L-1으로 낮출 경우 열과발생율에 영향이 없었다. 또한 GA3 25.0mg·L-1 처리 시에도 만개 14일 후 2차 처리 시 TDZ를 혼용할 경우 열과발생율이 무처리수준까지 감소하였다. 모든 생장조절제 처리는 과일의 숙기를 촉진하였으며, GA3 12.5mg·L-1에 2차에만 TDZ를 추가하였을 경우 가장 효과가 좋았다. 따라서 과실의 숙기와품종 등 모든 관점을 고려하였을 때 35-40개의 과립수를가진 400-500g 정도의 ‘거봉’ 무핵과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GA3 12.5mg·L-1을 만개기와 만개 후 14일에 처리하며TDZ를 만개 후 14일에만 혼용 처리하는 것이 가장 좋은결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find the effects of a GA3 and thidiazuron (TDZ) on seedless rate, harvest time, fruit cracking and fruit quality in ‘Kyoho’ grapes over two years from 2008 to 2009. In 2008, fruit clusters were dip treated with GA3 25.0 mg·L-1 twice at full bloom (FB) and 14 days after full bloom (DAFB) in a combination with TDZ 0 or 2.5 mg·L-1. Berry seedless rate and berry enlargement were slightly improved only when TDZ was added to the second GA3 treatment at 14 DAFB, compared to GA3+ TDZ treatments at both FB and 14 DAFB. However, berry cracking rat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any plant growth regulator (PGR) treatments compared to non treatment. In 2009, GA3 at 12.5 mg·L-1 and 25.0 mg·L-1 was dip treated twice at FB and 14 DAFB while TDZ 2.5 mg·L-1 was treated only at 14 DAFB. Berry cracking rate was depended on the concentration of GA3 applied. The higher concentration at 25.0mg·L-1 significantly increased berry cracking rate while the lower concentration at 12.5 mg·L-1 had no effect. Also, the addition of TDZ to GA3 25.0 mg·L-1 at 14 DAFB, substantially decreased the cracking rate to the level of untreated control. Although all PGR treatments advanced fruit maturity, the most significant advance occurred when TDZ was added to GA3 12.5 mg·L-1 only at the second dip. Considering the overall aspects related to fruit maturity and quality, we concluded that the double applications of 12.5 mg·L-1 GA3 at FB and 14 DAFB with addition of 2.5 mg·L-1 TDZ only at 14 DAFB was appropriate to produce about 400-500g size of seedless ‘Kyoho’ grape cluster having 35-40 berries. KCI Citation Count: 8
ISSN:1226-8763
2465-8588
DOI:10.7235/hort.2013.120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