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도와 이산화탄소의 상승처리가 포도 ‘캠벨얼리’의 수체생육과 과실품질에 미치는영향

본 실험은 온도와 이산화탄소 농도 상승이 3년생 ‘캠벨얼리’ 포도의 수체 생육 및 과실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위해 수행하였다. 처리구는 대조구(대기온도, 390μL・L-1CO2),온도 상승구(대기온도 + 4.0°C, 390μL・L-1CO2), 이산화탄소상승구(대기온도, 700μL・L-1CO2), 이산화탄소 + 온도 상승구(대기온도 + 4.0°C, 700μL・L-1CO2)로 구성되었다. 평균신초 길이는 이산화탄소 + 온도 상승구가 312.6cm로 처리구 중 가장 높았고, 대조구는 206.2cm, 온도 상승구와 이산화탄소 상승구는...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Weon'ye gwahag gi'sulji 2014, 32(6), , pp.781-787
Hauptverfasser: 손인창, 한점화, 조정건, 김승희, 장은하, 오성일, 문경환, 최인명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본 실험은 온도와 이산화탄소 농도 상승이 3년생 ‘캠벨얼리’ 포도의 수체 생육 및 과실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위해 수행하였다. 처리구는 대조구(대기온도, 390μL・L-1CO2),온도 상승구(대기온도 + 4.0°C, 390μL・L-1CO2), 이산화탄소상승구(대기온도, 700μL・L-1CO2), 이산화탄소 + 온도 상승구(대기온도 + 4.0°C, 700μL・L-1CO2)로 구성되었다. 평균신초 길이는 이산화탄소 + 온도 상승구가 312.6cm로 처리구 중 가장 높았고, 대조구는 206.2cm, 온도 상승구와 이산화탄소 상승구는 각각 255.6, 224.8cm이었다. 하지만 신초직경은 온도 상승구와 이산화탄소 + 온도 상승구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과립 횡경은 이산화탄소 농도가 높을수록 증가하였고, 당함량은 이산화탄소 상승구가 14.6°Brix로 처리구 중 가장 높았으며 온도 상승구에서 13.9°Brix로가장 낮았다. 수확기를 조사한 결과, 이산화탄소 + 온도 상승구에서는 약 11일 정도 단축되었고, 이산화탄소 상승구와온도 상승구는 4일과 2일이 단축되었다. 생육기 광합성과증산량을 조사한 결과, 광합성률은 이산화탄소 상승구와 이산화탄소 + 온도 상승구의 생육초기에 높았으나, 하계에 접어들면서 급격히 감소하여 증산량과 상반되었다. The effects of elevated temperature and CO2 concentration on vine growth and characteristics of fruits of three-year-old‘Campbell Early’ grapevine were investigated. The treatment groups consisted of a control group (ambient temperature and390 μL・L-1CO2), an elevated temperature group (ambient temperature + 4.0°C and 390 μL・L-1CO2), an elevated CO2 group(ambient temperature and 700 μL・L-1CO2), and an elevated CO2/temperature group (ambient temperature + 4.0°C and 700μL・L-1CO2). The average shoot length was 312.6 cm in the elevated CO2/temperature group, which was higher than the othergroups; with 206.2 cm in the control group and 255.6 cm and 224.8 cm in the elevated temperature group and elevated CO2group respectively. However, the shoot diameter showed a tendency of decreasing in the elevated temperature and elevatedCO2/temperature groups. The equatorial diameter of berries was increased in the higher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and thesoluble solid content was the highest in the elevated CO2 group, with 14.6 °Brix among all treatment groups and the lowestin the elevated temperature group (13.9 °Brix). The harvest date was approximately 11 d earlier in the elevated CO2/temperaturegroup and 4 to 2 days earlier in the elevated CO2 group and elevated temperature group, respectively. Regarding the rate ofphotosynthesis and transpiration during the growth period, higher photosynthetic rates were observed in the elevated CO2 groupand the elevated CO2/temperature group during the early stage of growth; however the photosynthetic rate was reduced dramaticallyin summer, which was contrary to transpiration. KCI Citation Count: 6
ISSN:1226-8763
2465-8588
DOI:10.7235/hort.2014.130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