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화의 GM 이벤트 선발을 위한 실질적 동등성 및 환경위해성 평가
As an assessment of substantial equivalence and environmental risks of branchless chrysanthemum GM lines (LeLS69, LeLS76, LeLS80) developed in Korea, we investigated their degree of branchlessness and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including growth and flowering, as well as the stability of populatio...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Weon'ye gwahag gi'sulji 2014, 32(4), , pp.517-524 |
---|---|
Hauptverfasser: | , , ,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As an assessment of substantial equivalence and environmental risks of branchless chrysanthemum GM lines (LeLS69, LeLS76, LeLS80) developed in Korea, we investigated their degree of branchlessness and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including growth and flowering, as well as the stability of populations of insect pests and soil microbes. The GM lines were compared with a control variety, 'Jinba'. LeLS80 showed the highest level of branchlessness among the three GM lines, whereas abnormal axillary buds developed in lines LeLS76 and LeLS69.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Jinba' and the GM lines. The branchlessness LeLS80 was increased during the summer season, suggesting that it is a useful germplasm for developing elite branchless cultivars. These GM line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occurrence of five insect pests including aphids, mites, leaf miners, thrips, and whiteflies. Similarly, for soil microbes including bacteria and actinomycete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Jinba' and the GM lines. However, there was a higher occurrence of fungi in the GM lines compared to 'Jinba'. Our findings suggest that 'Jinba' and the GM lines are substantially equivalent, although further monitoring studies are needed to confirm this. 본 연구는 국내에서 개발된 국화의 GM 이벤트에 대한 실질적 동등성과 환경 위해성 평가를 위해 GM 화훼류 이벤트의 표현형, 생육 및 개화특성 등의 재배적 특성과 병해충의 발달 정도 및 토양미생물의 변화양상 등이 조사되었다. 무측지성 GM 국화의 시험재료로는 무측지성 국화 형질전환체인 LeLS69, LeLS76, LeLS80 등 3계통을 이용하였으며, 대조품종 'Jinba'와 비교 분석하였다. 무측지성 GM 국화의 표현형 검정을 위해 각 계통간 무측지성 발생 정도를 비교하였으며, 재배적 특성 검정을 위해 생육단계별 생육정도 및 개화 특성을 비교하였다. GM 국화의 생리장해 및 병해충 발생 정도를 정식 후 매주 조사하여 변화양상에 대해 분석하였다. 또한 토양 미생물의 변화를 보기 위해 실험 종료시 GM 국화 계통별로 뿌리와 밀접한 부위의 토양을 채취하여 세균, 방선균, 사상균의 발생 정도를 분석하였다. LeLS80은 대조구 'Jinba'에 비해서 무측지성의 발현도가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LeLS76과 LeLS69는 무측지성의 발현률이 현저히 낮았다. 'Jinba'와 GM 국화 계통의 생육은 유의성 있는 차이가 보여지지 않았으며, 무측지성의 발현 정도에 따라 각 계통에 대한 유용성이 평가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특히 LeLS80 계통의 경우는 하계 고온기에 무측지성이 잘 발현됨을 관찰할 수 있어서 향후 무측지성 발현을 위한 유전자원 및 이벤트 개발에 유용할 것으로 추정되었다. 병해충별 발생 정도 분석에서 꽃노랑총채벌레, 점박이응애, 목화진딧물, 온실가루이 등은 발생시기는 종별로 달랐으나 계통간 차이는 보이지 않았었고, 병해충별 총발생량에서도 계통간 유의차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토양미생물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세균과 방선균은 'Jinba'와 GM 국화 계통간에 유의성 있는 차이가 보여지지 않았으며, 사상균은 모든 GM 국화가 'Jinba'보다 높은 값을 보였다. 종합적으로 볼 때, 지속적인 실질적 동등성 평가를 위해 앞으로 모니터링 연구를 기초하여 다양한 측면에서 접근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
---|---|
ISSN: | 1226-8763 2465-8588 |
DOI: | 10.7235/hort.2014.1314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