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문증 및 광시증의 양상과 망막열공 및 주변부 망막변성 사이의 연관성
목적: 비문증과 광시증의 양상에 따른 망막열공 및 주변부 망막변성 사이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2017년 7월부터 2018년 3월까지 비문증 및 광시증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 56명 56안을 대상으로 환자가 호소하는 비문증의 발생 시기, 하루 동안 느끼는 빈도, 개수, 형태, 광시증, 편두통 및 시각적 증상 동반 여부를 조사하였다. 안저촬영 및 주변부 안저검사가 시행되었고 뒤유리체박리 여부 확인을 위한 검사가 함께 시행되었다. 망막열공, 격자변성 등 치료를 필요로 하는 주변부 망막변성의 존재 유무를 의무기록지를 통...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Daihan angwa haghoi jabji 2019, 60(12), , pp.1198-1204 |
---|---|
Hauptverfasser: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목적: 비문증과 광시증의 양상에 따른 망막열공 및 주변부 망막변성 사이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2017년 7월부터 2018년 3월까지 비문증 및 광시증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 56명 56안을 대상으로 환자가 호소하는 비문증의 발생 시기, 하루 동안 느끼는 빈도, 개수, 형태, 광시증, 편두통 및 시각적 증상 동반 여부를 조사하였다. 안저촬영 및 주변부 안저검사가 시행되었고 뒤유리체박리 여부 확인을 위한 검사가 함께 시행되었다. 망막열공, 격자변성 등 치료를 필요로 하는 주변부 망막변성의 존재 유무를 의무기록지를 통해 후향적으로 알아보았다.
결과: 전체 환자 중 망막열공 및 격자변성이 확인된 환자는 22명 22안(39.3%)이었으며, 망막열공 및 변성이 없는 군은 34명 34안(60.7%)이었다. 비문증이 발생한 시기는 망막열공 및 주변부 변성이 있는 군에서 1주 이내에 발생한 경우가 유의하게 많았다. 비문증의 개수는 망막열공 및 주변부 변성이 있는 군에서 2-5개의 다수의 비문증을 호소하는 비율이 유의하게 높았다. 뒤유리체박리는 망막열공 및 주변부 변성이 있는 군에서 빈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치료가 필요한 경우 레이저광응고술을 시행하였고 6개월 경과 관찰 중 모든 환자에서 추가적인 병변은 발생하지 않았다.
결론: 비문증을 호소하는 환자가 내원 시 증상의 발생 시기와 개수 및 형태를 주의 깊게 문진하고 발생 시기가 1주일 이내이거나 다수의 비문증을 호소하는 경우 망막열공 및 주변부 망막변성을 염두에 둔 철저한 안저검사가 필요하다. Purpose: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ipheral retinal degeneration including retinal tear and character of floater and flash in patients with symptoms.
Methods: A retrospective review of 56 patients who visited Dong-A University Hospital with the symptoms of vitreous floaters and flash between July 2017 and March 2018 was performed using medical records. All patients completed a questionnaire detailing their symptoms include duration of symptoms, characters, floaters with flash and associated another visual symptom (e.g., headache, whiteout) had been performed full ophthalmic examination.
Results: A total of 56 eye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including 22 eyes (39.3%) of retinal breaks and peripheral retinal degeneration and 34 eyes (60.7%) of no peripheral retinal degeneration. Univariated analysis showed that the onset of symptoms within 1 week, multiple floaters particularly for the number from 2 to 5, and existence of posterior vitreous detachment are meaningful factor. Laser photocoagulation was performed in patients with peripheral retinal degeneration including retinal tears requiring treatment. No additional breaks were observed in all patients during the 6-month follow-up.
Conclusions: Patients with floaters and flash should be thoroughly asked with regard to the onset and number of floaters, and if the onset of symptom is within one week or patients feel multiple floaters, thorough peripheral fundus examination to find peripheral retinal degeneration including retinal tears should be needed.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0378-6471 2092-937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