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의의 선천성심장병 이해를 위한 CT 영상에서의 필수 심장해부학

선천성심장병은 흔히 심한 임상증상을 나타내어 신속한 영상진단과 적절한 치료를 요한다. 따라서 영상의학과의사, 특히 전공의는 선천성심장병의 진단을 위해 필수 심장해부학을 알고있어야 한다. 최근 발전된 전산화단층촬영 기법으로 영상판독 시 심장구조물을 흔히 볼 수 있게되었지만, 관련된 영상소견은 주의집중, 경험, 또는 지식의 부족으로 그냥 지나치는 경우가 있다. 이는 부분적으로 현재 선천성심장병 이해를 돕기 위해 제작된 전산화단층촬영 영상-기반교육자료가 많지 않은 것에 기인한다. 따라서, 이 임상화보에서는 심장 전산화단층촬영 영상을이용하...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2019, 80(6), , pp.1107-1120
1. Verfasser: 구현우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선천성심장병은 흔히 심한 임상증상을 나타내어 신속한 영상진단과 적절한 치료를 요한다. 따라서 영상의학과의사, 특히 전공의는 선천성심장병의 진단을 위해 필수 심장해부학을 알고있어야 한다. 최근 발전된 전산화단층촬영 기법으로 영상판독 시 심장구조물을 흔히 볼 수 있게되었지만, 관련된 영상소견은 주의집중, 경험, 또는 지식의 부족으로 그냥 지나치는 경우가 있다. 이는 부분적으로 현재 선천성심장병 이해를 돕기 위해 제작된 전산화단층촬영 영상-기반교육자료가 많지 않은 것에 기인한다. 따라서, 이 임상화보에서는 심장 전산화단층촬영 영상을이용하여 심장 영상면, 기본적인 해부학적 기준점, 심실, 심방, 심중격, 심판막의 형태학적 특징, 그리고 심장분절 간의 연결을 설명함으로써 선천성심장병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한다 Congenital heart disease is often associated with severe clinical presentations demanding prompt imaging diagnosis and appropriate treatment. Therefore, radiologists, particularly radiology residents, should be familiar with essential cardiac anatomy in order to diagnose congenital heart disease. In our clinical practice, cardiac anatomy is commonly depicted on CT images acquired with state-of-the art CT imaging techniques; however, the related imaging findings may be overlooked due to lack of attention, experience, or knowledge. It is partly due to the fact that CT-based illustration of cardiac anatomy to help understand congenital heart disease is currently scarce. In this article, cardiac imaging planes; crucial anatomical landmarks; morphological features of cardiac chambers, septa, and valves; and connections of cardiac segments are illustrated using cardiac CT images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congenital heart disease. KCI Citation Count: 2
ISSN:2951-0805
DOI:10.3348/jksr.2019.80.6.1107